변옥환기자 |
2021.10.13 16:56:04
부산항만공사(BPA)가 운영하는 부산항 웅동 배후단지 입주기업 가운데 85% 정도가 단순 창고업인 반면, 고용 창출이 큰 제조업은 5개사에 그쳐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국정감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최인호 의원(부산 사하갑, 더불어민주당)이 BPA로부터 받은 ‘최근 4년간 웅동 배후단지 입주기업 현황’ 자료를 발표하고 위와 같이 지적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웅동 배후단지에 입주한 기업 가운데 창고업종 기업은 지난 2018년 30개에서 올해 35개로 5개사 늘었다. 반면 고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있는 제조업은 지난 2018년 7개사에서 올해 5개사로 되려 2개사가 줄었다.
최인호 의원은 “3차 전국 항만 기본계획을 보면 웅동 배후단지를 화물 보관 및 운송 등 단순 물류 기능에서 벗어나 ‘조립’ ‘가공’ ‘제조’ 등 부가가치 활동이 가미한 복합 물류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한다”며 “고용도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정작 현실은 반대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웅동 배후단지 내 일자리 고용 또한 부진한 것으로 확인됐다. 웅동 배후단지의 지난해 고용 창출 목표는 총 4048명이었으나 실제 고용은 1529명으로 목표 달성률이 38%에 그쳤다.
최 의원은 “항만 계획과는 다르게 매년 단순 창고업의 비중은 커지고 제조업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며 “향후 배후단지 입주기업 선정 시 창고업보다 고용 창출과 지역 연계 효과가 높은 제조업, 서비스업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