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연구원 “초고령 사회 극복 위해 ‘노인 일자리 확충’ 등 필요”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1.10.25 17:42:01

월별 부산지역 노인 인구 비중 (자료제공=부산연구원)

부산이 최근 진입한 초고령 사회 극복을 위해선 기초생활 인프라의 편의성 향상과 노인 일자리 확충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부산연구원(BDI)은 25일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초고령 사회 극복 위한 부산의 주요 과제’ BDI 정책포커스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 지난달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으며 베이비 붐 세대의 편입으로 고령화가 가속화하고 있는 추세다. 부산의 인구 구조는 지난 1950년대 피라미드형에서 종형, 항아리형을 거쳐 역피라미드형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반면 초고령 사회에 진압한 부산은 도시 인프라 편의성과 대중교통 접근 편의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노인 낙상의 절반 이상이 외부에서 발생했으며 외출 시 가장 불편한 점이 계단, 경사로 이용으로 지적됐다.

노인의 경제력도 삶의 만족도 결정에 중요하나 부산지역 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72만원 수준으로 월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산지역 노인 가운데 자산소득에 의존하는 비율은 3.4%에 그쳐 낮은 편에 속한다.

보고서를 작성한 배수현 연구위원은 “초고령 친화도시의 기초생활 인프라 편의성 향상을 위해 생활, 주거환경 개선, 노인 친화 교통체계 구축, 문화·체육 향유 강화, 공공인프라 구축 방법 전환 등이 필요하다”며 “노인 대부분이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기에 마을버스~버스~지하철로 이어지는 교통체계 구축과 엘리베이터 보급 확대 등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노인 일자리 확충을 위해선 베이비부머 세대 맞춤형 일자리 지원, 은퇴자 사회 참여 프로그램 지원, 노인 돌봄 일자리 창출, 사회적 경제 일자리 창출 등이 필요하다”며 “바이오, 헬스케어, 뷰티, 메타버스, 로봇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기술 혁신을 의미하는 데모테크 산업의 육성도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센텀 2지구 도시첨단산단 내 로봇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노인 전문서비스 로봇 거점으로 육성하는 방안도 있다”고 제안했다.

 

부산 거주 고령자의 ‘경제적 생활 수준’ 응답률 (자료제공=부산연구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