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 행감] 김광명 “학교폭력 예방 사업, 실효성 제고해야”

김광명 시의원, 부산시교육청에 ‘학교폭력 예방사업’ 관련 제반 대책 점검 주문해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1.11.11 15:02:38

‘2021 부산지역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중 연도별 피해 응답률 항목 (자료제공=부산시교육청, 부산시의회)

부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행감)가 한참 진행 중인 가운데 올해 부산지역 학교폭력 예방사업에 27여억원의 예산이 소요되고 있으나 그 실효성이 너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1일 오전 부산시교육청에 대한 행감이 열린 가운데 김광명 의원(남구2, 국민의힘)은 시교육청의 학교폭력 예방사업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개선책 마련을 촉구했다.

교육부에서 발표하는 ‘학교폭력 실태조사’ 내 피해 응답률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2013년 2.2%에서 2016~2017년에는 0.9%까지 낮아졌다가 2019년 1.6%로 다시 늘어났다. 부산지역도 이같이 전국적인 추이의 경향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은 최근 ‘초등학교 내 피해 응답률’이 중·고등학교에 비해 크게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2014년 초등학생 피해 응답은 2.4%, 중학생은 1.3%로 1.1%p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점점 벌어져 2019년엔 2.8%p까지 차이가 나며 초등학교 내 학교폭력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김광명 의원은 “시교육청이 매년 시행하는 ‘학교폭력 예방책 만족도 조사’를 보면 ‘학폭 예방을 위해 인성교육이 가장 필요한 대상’ 질문에 2019년은 60.2%, 지난해는 76.8%가 초등학교란 응답이 나왔다”며 “그럼에도 매년 초등학교 내 피해 응답률이 중·고등학교에 비해 계속 상승하고 있는 현상은 시교육청이 관련 정책에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닌가”라고 질타했다.

이와 함께 시교육청 학교폭력 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부산지역 학교폭력 피해 응답자의 59.4%가 같은 학교의 학생에 의해 ‘쉬는 시간 및 점심 시간 등’에 폭력을 당했다고 응답했다. 이는 최근 몇 년간 매년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하고 있어 거의 동일한 패턴으로 대다수 학교폭력이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 의원은 “현재 발생하는 학교폭력의 현실과 시교육청의 정책 간 괴리가 있다”며 “이슈가 될 때마다 비슷한 대책들을 발표하는 데에 급급해하지 말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학교폭력의 근본 원인을 세심히 분석해야 한다. 그에 맞는 해결책을 정책으로 반영해 꾸준히 개선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