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울산시, ‘미 이전 시유재산 찾기’ 결실

14일, ‘2021년 추진실적 보고회’ 개최, 올해 총 307필지 1196억원 상당 발굴 성과

  •  

cnbnews 한호수기자 |  2021.12.14 16:20:12

울산시청 전경(사진=울산시 제공)

울산시가 올해 신규 사업으로 추진한 ‘미 이전 시유재산 찾기 사업’이 지금까지 도로, 공원, 하천, 하수도 등 여러 공공시설 분야에서 ‘성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는 14일 오후 본관 4층 중회의실에서 ‘2021년 미 이전 시유재산 찾기 사업 추진실적 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보고회는 올해 초 구성된 ‘미 이전 시유재산 찾기 TF팀(단장 장수완 행정부시장)’의 분야별 소유권 확보 추진결과 보고를 통해 올해 실적 점검 및 시유재산 발굴 경험 및 애로사항 등에 대한 공유와 실적 우수자에 대한 표창을 전수했다.

보고회 자료에 따르면, 시는 올해 총 307필지 1196억원 상당 미 이전 시유재산을 발굴했다.

주요 발굴 시유재산으로는 △울산대공원 112필지 390억원 △중구 신간선도로(장춘로) 53필지 328억원 △울산체육공원 간선도로 88필지 311억원 △국유폐천 양여 20필지 71억원 △번영로(번영교~한비사거리) 25필지 55억원 △방어진수질개선사업소 등 3개소 5필지 38억원 △종합운동장 3필지 2억원 등이다.

특히 시유재산 발굴 과정에는 현실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지만 시는 공간정보시스템과 기록물관리시스템을 활용해 관련 발굴대상 토지 데이터를 발췌하고 관련 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소유권을 확보하고 있다.

장수완 행정부시장은 “시민의 재산을 빈틈없이 지키는 것은 공공기관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며 “내년에도 사업을 지속 추진해 숨은 재산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시의 재정 건전성 확보와 함께 세심한 재산관리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미이전 시유재산 찾기’ 사업은 공원조성, 도로개설 등 공익사업에 편입돼 무상귀속·기부채납·보상 등이 완료됐으나 울산시로 소유권 이전이 되지 않아, 소유권 분쟁 및 막대한 재정적 부담이 되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울산시가 올해 역점적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