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올해 자연재해위험지역에 대한 항구적인 개선사업과 둔치주차장 차량침수 피해예방, 폭염·한파 등 자연재난 취약계층 보호에 총 162억 원 사업비를 투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주요 사업을 보면 ▲자연재해위험지구 개선사업 122억 ▲둔치주차장 차량침수 예방 시스템 구축 23억원 ▲폭염·한파 취약계층 보호대책 10억원 ▲자연재해저감수립 용역 4억원 ▲노후 배수펌프장 펌프시설 분해·정비 3억원 등이다.
자연재해위험지구 개선사업은 2016년 태풍 ‘차바’로 침수피해가 컸던 태화 및 반천지구와 상습 침수지역인 두왕, 내황지구 등 4개소이다, 전체 사업비 980억원 중 122억원이 올해 투입된다.
이 사업들이 완료되면 약 2만여 명의 주민들이 침수피해 위험으로부터 벗어 날 것으로 기대된다.
여름철 갑작스런 폭우에 의한 하천 둔치주차장 차량 침수피해 예방을 위해 중구 태화강 및 동천 일원 9개소 입구에 대형 전광판을 설치하고 차량 소유자에게 위험안내 및 차량이동 안내 문자를 자동 발송하는 알림시스템 장비를 23억원을 투입해 구축한다.
더위와 추위로 고통 받는 홀몸어르신 등 재난취약계층 보호를 위해서는 약 2만5000여 가구에 에어컨, 전기히터 등 냉·난방 용품과 단열재 보강, 창호교체 등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지원한다,
이 사업은 지난해 9월 30일 울산시와 5개 구군,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공동으로 발표한 ‘추․더위 고통 없는 울산형 에너지복지 추진’ 사업과 연계해 울산사회서비스원에 위탁 추진한다.
기후변화로 급변하는 재난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울산시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지난해 12월 착수해 2022년 완료 목표로 추진 중이다. 사업비는 총 18억원이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방재성능목표를 재설정하고 재해위험지구 발굴 등 실질적인 예방대책을 마련한다. 특히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침수피해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해 우수유출 저감대책도 함께 만든다.
시 관계자는 “지구온난화 등 기상 이변으로 과거에 비해 자연재난 위험도는 크게 높아지고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예산의 효율적 집행으로 자연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한 도시를 만들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