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수기자 |
2023.02.23 14:30:27
울산시는 23일 시청 1별관 3층 회의실에서 ‘울산시 제1차 환경보건계획(2023 – 2030, 8년) 수립’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보고회는 김미경 울산시 환경국장을 비롯해 김양호 울산대학교병원 교수, 이지호 울산광역시 환경보건센터장, 유동기 울산환경기술인협회장 등 1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 연구용역은 환경보건법 개정에 따라 중앙정부 주도의 환경보건 정책에서 지역중심의 환경보건 정책 수립이 의무화 됨에 따라 추진하게 되었다.
‘울산연구원’이 지난 2022년 4월 착수, 이번 최종보고회를 거쳐, 시 환경보건위원회 심의·의견을 반영해 3월 말 완료될 예정이다.
보고회 자료에 따르면, 이 계획은 ‘시민이 건강한 도시, 안전한 울산’을 비전으로 ‘지역의 환경보건 안전망 구축’과 ‘시민의 환경성 질병부담 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환경유해인자 감시 및 노출관리 △환경성 건강피해 예방 및 대응 △지역 환경보건 기반 강화 △시민소통·교육 및 정보제공 강화 등 4대 추진전략이 제시됐다.
4대 전략은 10개 추진과제와 27개의 세부과제로 계획됐다.
추진 과제를 보면, 환경유해인자 조사·감시체계 구축, 잠재적 유해인자 대비체계 마련, 생활환경 유해인자 관리, 화학물질 관리 체계 구축 등이 마련된다.
또 환경성 건강피해 예방, 환경오염 피해대응 체계(시스템) 구축, 환경오염 피해구제 확대, 지역 환경보건 정책추진 강화, 지역 환경보건 시민참여 기반 마련, 민간계층 환경 보건 지원 추진된다.
사업비는 총 332억 원으로 추산됐다.
특히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환경보건정책 추진 성과 확인을 위해 13개의 ‘울산시 환경보건 지표’가 마련됐다.
지표는 환경보건 취약지역 건강영향조사 인원수,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교육 횟수 등 환경보건 계획의 추진 상황을 수치화해 성과 확인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 추진으로 대규모 산업단지와 주거지역이 인접해 있는 울산의 지역특성에 맞는 계획을 수립하고, 환경유해인자로부터 안전한 환경, 시민 모두가 건강한 도시를 위한 환경보건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