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남도, 올해 수질개선사업 3329억 투입…"안전한 수돗물 공급 총력"

수질오염원 저감 등 녹조 예방 만전…낙동강 수질개선 위해 '국가 녹조센터' 설립 등 국가 차원 대책 마련 건의

  •  

cnbnews 최원석기자 |  2023.04.26 15:43:27

정석원 경남도 환경산림국장이 26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정례브리핑을 갖고 있다. (사진=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올해 하절기 기후가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기상청 전망에 따라 녹조 관련 선제적 대응을 위해 '2023년 낙동강 녹조 발생 예방 및 대응 계획'을 추진한다.

또한 작년 7월 정수장 유충 사고뿐만 아니라 올해 봄까지 계속되는 가뭄으로 인한 도서 지역 주민들의 생활용수 부족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2286억 원을 투자해 '상수도시설 확충 및 관리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낙동강 녹조 발생 예방 및 대응계획 총력 추진

경남도는 오는 2025년까지 창녕 남지 기준 수질 BOD 2.0㎎/L, T-P(총인) 0.035㎎/L 이하 유지를 목표로, 올해 3329억 원을 투입해 다양한 수질개선사업을 적극 추진해 녹조 발생을 억제하기로 했다.

하수종말처리시설 확충 및 개선, 하수관로 정비,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증설 등 환경기초시설에 대해 3025억 원과 주민참여형 농업 비점오염원 집중관리 등 '비점오염 저감사업' 등에 304억 원을 투자한다.

또한 녹조 발생 초기 선제 대응을 위해 현재 시행 중인 조류경보제 발령 전 '우려' 단계를 경남도 자체적으로 추가하여 오염원에 대한 사전점검과 하천 환경개선을 추진하고, 수돗물 조류독소와 냄새물질 검사를 강화할 방침이다.

녹조 발생이 본격화되는 6월 전까지 야적퇴비 관리 등 오염원 관리 강화와 취·정수장 대응 상황 등에 대한 점검을 마무리하고 낙동강청, 경남도, 시·군 합동 점검과 담당과장 대책 회의 등도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녹조 발생 저감 등에 효과가 있는 최적 댐-보 연계 운영을 위해 지난 25일까지 취·양수장 29개소에 대한 민·관 합동 점검도 실시하였으며, 하상변화 등에 따른 양수장 가동상태 등을 중점 점검, 녹조 발생과 관련한 보 시설 개방에 따른 물 이용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계속해서 힘쓸 계획이다.

◇국가 녹조센터 등 낙동강 수질개선 및 관리 전담기관 설치 건의

아울러 낙동강 최상류부터 말단까지 종합적·체계적 수질개선과 관리를 전담하는 국가 기관 설립과 근거 마련을 위한 관련 법률 제정 필요 여부도 검토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지난 4일 환경부를 방문해 국가 녹조센터를 녹조 발생이 심한 낙동강 하류지역인 도내에 설립해 줄 것을 제안한 결과, 환경부에서는 경남도의 의견에 공감했고, 내년 환경부 자체 신규 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앞으로 부산, 울산 등 낙동강 수계 5개 시·도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낙동강수계관리실무위원회를 거쳐 기획재정부 등에도 국가 녹조센터와 같은 낙동강 수질개선 전담 국가기관 설립 필요성에 대해 적극 설득하는 등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경남도가 녹조 관련 선제적 대응을 위해 '낙동강 녹조 발생 예방 및 대응계획'을 추진한다. (사진=경남도 제공)

◇깨끗한 수돗물 안정적 공급 지속 추진

경남도는 유충 등 수돗물 수질사고 사전 예방과 함께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고 지속적인 지방상수도 보급 확대를 위해 ▲농어촌 생활용수 개발 ▲지방상수도 비상공급망 구축 ▲노후 상수관망 정비 ▲노후 정수장 정비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에 1955억 원을 투자한다.

이와 함께 ▲소규모수도 노후화 시설 개량 ▲농어촌 마을상수도 위탁관리 등에 136억 원을, 도서지역 가뭄 대응을 위한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에 113억 원, 수돗물 유충 등 방지를 위한 정수장 소형생물 대응 체계 구축에 82억 원을 투입하여 상수도 보급과 수돗물에 대한 도민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도는 올여름에도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이달 시설점검을 실시했으며, 5월 초부터 6월까지 도내 정수장 51개소를 대상으로 취수시설 및 정수처리 전 공정 위생관리, 여과지 적정 운영 여부, 유충 현장 모니터링 실시 등 수돗물 생산 전 과정에 걸쳐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더불어 유충 등 수돗물 수질사고 예방과 적극 대응을 위해 '상수도 분야 관리강화 종합대책'에 따라 ▲정수장 수질 모니터링 강화 ▲노후 상수관망 정비 및 비상공급망 구축 ▲수돗물 수질검사 홍보 강화 및 우리집 수돗물 안심확인제 추진 ▲정수장 운영‧관리 강화 및 사고대응 등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꼼꼼히 챙겨 도민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 신규사업으로 '정수장 소형생물 대응 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해 수돗물이 정수장에서 가정으로 공급하기 전 최종 단계에 정밀여과장치 등 물리적 유충 유출 차단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에 소형생물(유충)을 전면 차단 할 수 있게 되어 도민들의 수돗물 불안 요인을 해소하고, 보다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서지역 안정적 수돗물 공급으로 물 복지 서비스 제공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가뭄으로 현재 제한급수를 추진 중인 통영 도서지역에 대해서 급수차량, 급수선 등을 활용해 지속적인 비상급수를 실시 중이다.

도는 올해 욕지도 지역의 식수 및 생활용수 확보를 위하여 7월 시운전을 목표로 '욕지도 식수원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개로 욕지도 및 인근 섬지역의 보다 안정적 식수원 확보를 위해 환경부에서 '욕지도 지하수 저류지 설치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욕지도 식수원 개발사업 및 지하수 저류지 설치가 완료되면 가뭄 발생 시에도 욕지도 및 인근 섬지역의 식수 및 생활용수 부족 사태는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석원 환경산림국장은 “앞으로도 도는 시·군 및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으로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