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동아대 이정규 교수팀, 차세대 '리튬-황 전고체전지' 고성능 구현

전기자동차·드론·로봇 등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 기대

  •  

cnbnews 손혜영기자 |  2025.04.07 16:07:23

(왼쪽부터)이정규 교수, 카루푸 무루게산 박사.(사진=동아대 제공)

동아대학교는 화학공학과(BK21 Four) 이정규 교수팀이 차세대 ‘리튬-황 전고체전지’를 고성능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논문을 ‘Chemical Engineering Journal(IF 13.4, JCR 상위 3.7%)’ 4월호에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의 ‘차세대 유망 Seed 기술실용화 패스트트랙사업’과 한국에너지평가원의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된 이번 논문의 제1저자로는 동아대 카루푸 무루게산 박사, 공저자로 배정우·손찬식 대학원생이 참여했다.

리튬-황 이차전지는 저가의 고에너지 차세대 이차전지로 개발되고 있으나, 황의 전도성이 낮고 과량의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방전 과정에서 리튬폴리설파이드 용출과 이동 문제로 이론 용량 (1675 mAh/gs) 및 높은 충·방전 효율(>99%)을 구현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정규 교수팀은 액체전해질 기반 리튬-황 이차전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튬-황 전고체전지’를 설계, 황의 이론 용량에 근접하는 고용량과 높은 충·방전 효율을 구현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를 위해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원천특허 기술을 적용, 이상적인 크기의 미세 기공(직경 약 10nm 내외)을 갖는 탄소 입자 내부에 황을 균일하게 담지하고 소량의 탄소나노튜브를 도전제로 첨가해 ‘복합체 양극물질’을 제조했다.

또 용액 혼합법을 적용해 양극물질과 황화물계 전고체전해질 간의 계면 안정성을 확보, 황의 이론 용량에 근접하는 최고 수준의 용량(>1550 mAh/gs)과 충·방전 효율(99.9%, 300 사이클)을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이정규 교수는 “리튬-황 전고체전지는 기존 고가의 금속산화물 양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월등히 높고(니켈=16,214US$/톤, 황=115US$/톤, 2025년 국제가), 폭발 위험에 대한 안정성과 에너지밀도가 높아 차세대 이차전지로 개발될 것”이라며 “앞으로 전기자동차는 물론 드론, 로봇 등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