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UPA, 울산 북신항 액체부두 공용부두 전환

해상환적-질소작업 동시가능 부두 지정 추진

  •  

cnbnews 손혜영기자 |  2025.04.16 09:41:01

북신항 액체부두 전경.(사진=UPA 제공)

관공선, 실습선 등이 임시로 활용 중이던 울산 북신항 액체부두가 공용부두로 전환을 앞두고 있어 울산항의 효율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항만공사(UPA)는 2030년 세계최초 수소 터미널 구축을 위해 조성한 북신항 액체부두를 해상환적과 질소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공용부두로 한시적 전환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현재 울산항에는 해상환적이 가능한 부두가 총 11개 지정돼 있지만, 이 중 8개는 민유 또는 전용부두로 운영되고 있어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적 부두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질소작업이 수반되는 액체화학 화물 작업 시 육상을 통한 질소 공급이 필요하고, 해상환적(T/S) 전용부두를 이용하는 경우 하역 전·후 별도의 부두를 추가로 사용해 체선 및 물류비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UPA는 북신항 액체부두를 해상환적이 가능한 부두로 추가 지정하기 위해 현재 울산지방해양수산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최근 중국, 일본 등 주변국의 통과화물 반입금지 규제와 파나마 운하의 재개 영향으로 해상환적 물동량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울산항에 해상환적 가능 부두를 추가로 확보해 항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인 것으로 풀이된다.

관계자는 “북신항 액체부두 외에도 울산항에 공용 액체화학 부두를 지속 확보해 항만의 공공성을 추구하고, 국내 액체화학 1위 항만의 위상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울산 남구 황성동 일원에 조성되고 있는 북신항 액체부두는 5만 톤급 1선석(안벽 300m), 부지 159000㎡ 규모의 액체화학 전용부두로 안벽과 에이프런(하역작업을 위한 공간) 12600㎡가 준공됐고 배후부지는 현재 매립 공사중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