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국립창원대 G-램프사업단, ‘2025 G-LAMP 국제심포지엄' 성황리 개최

  •  

cnbnews 손혜영기자 |  2025.07.02 16:23:23

2025 G-LAMP 국제심포지엄 진행 모습.(사진=국립창원대 제공)

국립창원대학교 G-램프(LAMP)사업단은 국립창원대 COSS 송원홀에서 ‘2025 G-LAMP 국제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생화학 나노소재 연구팀(총괄과제B 연구책임자 임재민)의 핵심 연구 주제인 ‘화학 및 생물 감염원의 신속 방호 및 제독을 위한 연구’를 중심으로, 미국 University of Georgia, CCRC 연구진과의 학술 교류를 통해 국제 공동연구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

본 행사에 앞서 국립창원대 공동실험실습관 내 경남생명항노화 핵심연구지원센터에서 G-램프사업단과 CCRC의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국제 협력의 출발을 알렸다.

MOU 체결을 통해 당생물학(Glycobiology) 및 당과학(Glycoscience) 분야에서 교류, 공동연구, 공동 저자 논문, 기술 교환 등의 제도적 틀을 마련했다.

심포지엄은 미국 조지아대학교의 세계적 당과학 전문가인 Dr. Michael Tiemeyer 교수의 ‘Annotating Glycan Functions to Build Connectivity Across Datatypes’발표로 시작됐다. 이어 Dr. Lance Wells 교수가 ‘A Tale of Two O-Glycans: Congenital Disorders of O-GlcNAc and O-Mannose’를, Dr. Ryan J. Weiss 교수가 ‘Targeting Heparan Sulfate Assembly in Rare Disease’를 주제로 각각 최신 성과를 공유했다.

국내 연사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뉴바이올로지학과 김민식 교수가 ‘Multi-Omics of Calcific Aortic Valve Disease’를 주제로 강연을 했으며, 국립창원대 장영생 교수는 ‘The Role of Lactoferrin in Mucosal Homeostasis’, 조경일 교수는 ‘Chemical Recycling of Waste Tire into Cycloalkenes: Tandem Catalytic Reaction of Isomerization and Metathesis’, 안근아 교수는 ‘Antigen 43 mediated bacterial outer membrane vesicles and their theranostic potential against SARS-CoV-2’를 각각 발표하며 학술대회의 깊이를 더했다.

이번 국제심포지엄에서는 당과학을 비롯해 생화학·나노기술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과 기술 정보를 폭넓게 공유하며, 참가 연구자들의 전문성 강화와 실질적인 국제 협력 시너지 창출의 장이 됐다.

G-램프사업단 박종규 단장은 “이번 MOU 체결과 국제심포지엄 개최는 글로벌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연구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중요한 발판”이라며 “앞으로도 국제심포지엄을 정기적으로 개최해 학술 교류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국립창원대의 글로벌 연구 역량과 위상을 높이는 데 힘쓸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