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지난 23일 웨스틴조선 부산에서 열린 재한유엔기념공원국제관리위원회(CUNMCK) 정기총회에서 ‘유엔기념공원 주변 경관지구 관리방안’에 대해 조건부 동의를 확보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합의는 세계 유일의 유엔 공식 묘지인 유엔기념공원의 존엄성과 상징성을 보존하면서도, 주변 지역의 도시 기능 회복과 주거 환경 개선을 병행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이날 회의에는 부산시와 유엔기념공원 관리처, 국제관리위원회 소속 11개국 대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성희엽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이 직접 현장 투어와 제안 설명을 진행했다. 참석자들은 유엔기념공원의 역사적 가치와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총회에서 일부 위원들은 규제 완화 이후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유엔기념공원의 경건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지만, 시는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건축물의 높이·용도·외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구체적 계획을 제시하며 위원들을 설득했다. 그 결과, 부산시는 향후 국제관리위원회와의 지속적인 협의 진행을 조건으로 동의를 얻어냈다.
유엔기념공원은 1951년부터 조성된 세계 유일의 유엔 공식 묘지로,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 장병 2333명이 안장돼 있다. 유엔총회 결의에 따라 설립된 재한유엔기념공원국제관리위원회(CUNMCK)가 관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1959년 협약을 통해 이 부지를 유엔에 영구 기증했다.
부산시는 지난 2021년부터 국제관리위원회와 꾸준히 협의하며 경관지구 조정의 필요성을 제기해 왔고, 2024년 말부터 직접 합의 과정에 참여하며 실무 논의를 주도한 끝에 이번 성과를 거뒀다.
시는 이번 조건부 동의를 토대로 세계유산의 가치와 시민의 삶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관리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6년 상반기 남구청이 도시관리계획 입안을 위한 용역에 착수하고, 같은 해 하반기부터 시가 본격적인 결정 절차에 들어간다.
특히, 이번 합의는 2026년 세계유산위원회 제50차 총회의 부산 개최를 앞두고, 유엔기념공원 일대의 도시환경 정비와 국제도시로서의 품격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관리위원회는 “대한민국의 발전은 유엔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증명하는 산 증거”라며, “이번 계획이 그들의 숭고한 뜻을 더욱 빛내는 방향으로 추진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박형준 시장은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평화의 상징이며, 이번 합의는 그 존엄성을 지키면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국제관리위원회와의 합의를 충실히 이행하고,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세계유산의 가치와 주거환경 개선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