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복지 수요 급증에도…고양시민복지재단 설립 또 '무산'

고양시의회, 조례안 두 차례 연속 부결…내년 초 출범 사실상 불가능

  •  

cnbnews 박상호기자 |  2025.10.31 13:53:54

고양시청사 전경(사진=고양시)

고양특례시가 추진 중인 ‘고양시민복지재단 설립 조례안’이 시의회 본회의에서 또다시 부결됐다. 지난 3월 첫 부결에 이어 두 번째로, 재단 출범이 내년 초까지 이뤄지기 어려울 전망이다.

 

행안부 지방출자출연기관 설립 기준에 따르면, 출연기관을 설립할 때 재단 설립 과 운영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조례로 정해야 하고, 조례 제정이 무산될 경우 출연기관을 설립할 수 없다고 규정돼 있다.

 

고양시 사회복지 대상자는 지난달 말 기준, 38만6702명으로, 경기도 내 인구 규모가 비슷한 5개 시 중 수급자 비율이 가장 높다. 사회복지 통합전산망에 등록된 지역 내 복지시설만 879곳에 달하며, 미등록 기관까지 포함하면 총 2484곳으로 도내 지자체 중 가장 많은 수준이다.

 

이처럼 복지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통합적 관리 체계는 미비한 상황이다. 시는 재단 설립을 통해 지역 복지사업의 효율성과 지속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이번 제298회 임시회에 상정된 ‘고양시민복지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은 상임위 단계에서 원안 가결됐으나, 지난 26일 열린 본회의 전자투표에서 재석의원 34명 중 찬성 15명, 반대 19명으로 부결됐다.

 

더불어민주당 최규진 의원은 반대 토론에서 “행정 효율성과 정책 지속성 확보가 어렵고, 재정 부담이 늘 수 있다”며 “정책적 필요보다 정치적 상징에 치중하는 것으로 비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반면, 국민의힘 박현우 의원은 “1인 가구와 노인 독거가구 급증 등 새로운 복지 수요가 늘고 있다”며 “사회복지예산 구조조정 등 현안 대응을 위해 재단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는 지난 3월 제292회 임시회에서 같은 조례안을 제출했지만, 복지전달체계 평가 부재, 조례안 내용 미비, 조직·예산 계획 부실 등의 이유로 부결된 바 있다.

 

이번에는 당시 시의회 지적사항을 반영해 조례안을 보완했다. 특히, 지난해 7월 경기연구원이 실시한 ‘복지재단 설립 타당성검토 결과보고서’에서는 조직·인력·예산이 행안부 기준에 부합하며 설립 계획이 적정하다고 평가했다.

 

시 관계자는 “고양시는 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특례시 중 하나로 복지 대상자 수가 많고, 저출생·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 새로운 복지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다”며 “기존 관공서 중심의 소규모, 전형적인 복지 시스템으로는 빠르고 유연한 대응이 어려운 상황인 만큼 고양시민복지재단 설립으로 전략적인 복지정책 수립과 시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