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노조, "제도도 없이 파주이전? 피해는 직원과 도민 몫"

실질적 지원 없는 기관이전 추진 구조 비판, 도민 피해 없는 합리적 이전 로드맵 마련 촉구

  •  

cnbnews 이병곤기자 |  2025.11.06 15:06:01

(사진=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노동조합은 최근 경기도가 추진 중인 경과원 파주 이전 논의가 행정적 준비와 제도적 기반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과원 노동조합은 6일 성명을 통해 “책임 주체와 제도 기반이 부재한 이전 추진은 실패로 귀결될 것”이라며 “결국 피해는 직원과 도민에게 돌아간다”고 밝혔다.

 

이번 입장 발표는 경기도의 공공기관 이전이 정치적 구호에 머물지 않고, 실질적인 행정 절차와 제도적 기반 위에서 추진돼야 한다는 경과원 노조의 문제의식에서 비롯됐다. 경과원 노조는 경기도 조례와 지원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추진되는 이전은 행정 공백을 초래하며, 기관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노조는 “경과원은 연구·정책·기업지원 등 도정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충분한 법적 근거와 실행 계획 없이 이전을 논의하는 것은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경과원 노조는 추진 주체의 부재를 핵심 문제로 지적했다.

 

경기도는 공공기관 이전이라는 중대한 사안을 추진하면서도 구체적 실행 조직이나 컨트롤타워를 마련하지 않았고, 파주시는 토지 제공 의사를 언급하면서도 실제 매입 부담을 기관에 전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지를 ‘제공’한다는 표현과 달리 경과원이 자체 예산으로 매입해야 하는 구조는 재정이 열악한 기관에 과도한 부담을 떠넘기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노조는 이번 논의가 행정적 절차보다 정치적 효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비판했다. 일부 정치권 인사들이 공공기관 이전을 개인 성과처럼 포장하면서도 구체적인 제도 개선이나 재정 지원 대책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 소비 구조는 공공기관 이전의 본래 목적을 훼손하고 행정적 혼란만 키운다고 노조는 경고했다.

 

경과원은 도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으로서, 정치적 계산의 도구로 활용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경과원 내부에서는 혼란 속에서도 합리적 방향을 찾기 위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노조는 직원 의견 수렴 절차를 강화하고, 현실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내부 간담회와 의견조사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공공기관 이전이 단순히 지역 균형발전의 수단으로만 소비되지 않도록, 행정·재정 지원 체계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경과원 노조는 “이전의 당위성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실제 이전이 가능한 로드맵과 조직·예산·인력 계획이 수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과원 노조는 경기도, 파주시, 정치권에 각각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했다.

경기도에는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한 조례 제정 및 지원 기준 수립을, 파주시에는 교통·정주·주거 환경 등 실질적인 지원책 제시를, 정치권에는 이전을 선거용 이슈가 아닌 제도 개선의 계기로 삼을 것을 요구했다.

 

노조 관계자는 “파주시는 단순히 ‘경과원 유치’ 구호를 외칠 것이 아니라, 실현 가능한 대안과 도민이 공감할 수 있는 이전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혁규 경과원 노조위원장은 “경기도 공공기관 이전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도민의 세금과 기관의 존립이 걸린 중대한 문제”라며 “제도적 기반과 실질적 계획 없이 추진되는 이전은 정치적 이벤트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경과원의 파주 이전이 균형 발전의 목적 달성과 더불어 수천억원의 지역경제 효과가 발생한다면 경기도와 파주시는 진정성 있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야 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