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가 인구감소와 저출생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정리한 기본계획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시는 연구결과를 공유하며 정책 연계와 재정 기반을 함께 살폈다. 생활인구 분석과 행정데이터 체계 구축 필요성도 논의됐다.
포천시는 지난 12일, 시청 시정회의실에서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의 최종보고회를 진행했다. 보고회에는 김종훈 부시장을 비롯한 국·소장, 실무부서 담당자, 용역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연구성과를 점검하며 추진 방향을 살펴봤다.
이번 연구는 시의 비전인 시민의 미래를 꿈꾸는 도시를 바탕으로 오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되는 중장기 인구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됐다. 인구유출, 저출생, 정주여건 변화 등 지역 여건을 고려해 대응 전략을 단계적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보고회에서는 단기·중기·장기 추진 전략이 제시됐다. 단기에는 인식 개선과 기존 제도의 정비가 포함됐고 중기에는 정책 간 연계와 서비스 확장이 담겼다. 장기에는 정주여건 개선과 생활 품질 제고 등이 정리됐다. 참석자들은 이러한 구성에 맞춰 과제를 현실화하기 위한 조정 사항을 논의했다.
생활인구 흐름과 지역 인구구조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방향도 검토됐다. 경기도가 추진하는 생활인구 활성화 연구를 수행 중인 한국지역경제학회가 참석해 도 차원의 연구와 포천시 정책 간 연계 가능성을 설명했다.
김종훈 부시장은 “기본계획이 향후 5개년 실행계획의 기반이 되려면 부서 간 연계와 재정계획이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생활인구와 행정데이터 기반을 함께 갖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행 중심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포천시는 이번 기본계획을 토대로 내년도 시행계획을 마련하고 도 연구용역과의 연계 과제를 발굴해 실효성을 높일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