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진해경자청, 글로벌 물류혁신 TF 제2차 회의 개최

터미널 운영의 현주소 점검, 국산 장비 경쟁력 강화 및 오픈이노베이션 방안 논의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11.13 16:19:00

13일 'BJFEZ 글로벌 물류혁신 TF 제2차 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부산진해경자청 제공)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13일 동원글로벌터미널에서 'BJFEZ 글로벌 물류혁신 TF 제2차 회의'를 개최하고, 항만·터미널 운영 및 물류산업 자동화의 현실태를 현장에서 직접 점검하며 스마트 항만물류 및 자동화 장비산업 고도화를 위한 구체적 실행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9월 열린 글로벌 물류혁신 TF 킥오프 회의에서 제시된 핵심 과제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고, 추진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당시 회의에서는 ① 정부 북극항로 정책 연계 전략, ② 스마트 항만 및 장비산업 고도화, ③ 물류 디지털 전환 및 창고 자동화, ④ 전문 인력 양성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이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이러한 과제들을 중심으로 스마트 항만 고도화를 위한 AI·빅데이터 기반 운영 최적화 시스템 구축 및 국산 장비 기술·가격 경쟁력 확보 방안과 물류산업 자동화 전환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논의했다.

또한, 이번 회의에는 지난 7월 신설된 경상남도 신항만건설지원과가 참여해 진해신항 개발과 항만 운영 효율화 방안 등 도(道) 차원의 역할과 추진 방향을 공유했으며, 경남테크노파크, 경남연구원, 지역대학 등 유관기관과 함께 스마트항만 장비산업 육성, R&D 지원,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등 현장에서 제기된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에 대해 논의했다.

이어서, 동원글로벌터미널의 스마트항만 운영사례를 발표했다. 동원글로벌터미널은 국내 최초의 완전 자동화 항만으로, 부산항 신항 7부두를 기반으로 컨테이너의 하역·이송·적재 전 과정을 자동화한 첨단 터미널 운영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터미널 대비 생산성을 약 20% 이상 향상시킨 것으로 평가되며, 국내 스마트 항만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국내 기술기업 Z사와 S사가 항만 자동화 및 장비 국산화 관련 오픈이노베이션 과제를 발표했다. Z사는 AGV·AMR 등 산업용 자동화 장비 전문기업으로, 터미널 및 물류창고 내 자동이송장비 실증 및 운영테스트 협력 방안을 제시했고, 항만 크레인 및 운반하역설비 설계·제작·시공 전문기업인 S사는 광양항 자동화 Test Bed 구축을 바탕으로 RMGC 자동화 확대적용 및 부품 국산화 협력 방안을 제안했다.

이날 참석한 관계기관들은 “스마트항만 전환을 위해서는 국산 장비 기술력 향상과 운영데이터 기반의 AI·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박성호 청장은 “경자구역은 이미 동북아 물류의 핵심 거점이지만, 이제는 ‘스마트 장비산업’과 ‘디지털 물류기술’이 결합된 혁신 항만물류 생태계로 한 단계 더 도약해야 한다”며, “국산 장비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AI 기반 운영시스템을 고도화해 글로벌 항만물류 혁신 거점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