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전 윤석열 정부가 동북아 3국의 줄임말로 ‘한일중’, ‘한중일’을 혼용하던 것에서 벗어나 이재명 정부는 ‘한중일’로 원상복구한다고 대통령실이 17일 밝혔다.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이날 “정부는 국제회의체에서 관련국 간 별도로 합의된 룰이 없는 경우 관행과 언어적 편의 등을 고려해 국가명 표기 순서 방식을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라며 “한중일 정상회의의 경우 그간 3국간 합의에 의해 3국간 공동 문서 등에 회의 공식 명칭을 표기할 때 국명을 의장국 순(한일중)으로 표기해오고 있다. 이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한중일'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불필요한 혼선이나 해석의 논란을 방지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이러한 방침은 예컨대 동북아 3국 정상회의체의 경우 개최 순번(일본-중국-한국)에 따라 ‘한일중 정상회의’라고 쓰기로 결정돼 그에 따랐으나 이러한 특정 경우 이외에는 한중일 순서로 언급하겠다는 설명이다.
직전 윤석열 정부는 2023년 9월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한일중’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당시 윤 정부 대통령실 관계자는 “우리 정부 들어 가치와 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미, 일과 보다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어 ‘북미’보다 ‘미북’, ‘한중일’보다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대중 관계 복원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 1일 경주에서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한중 관계의 전면적 회복”을 선언한 뒤 지난 14일 한미 관세-안보 협상 팩트시트를 직접 설명할 때도 말미에 “중국과 꾸준한 대화로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길을 흔들림 없이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과 협력하지만 그렇다고 중국 배제는 아니다’는 의지를 적극 내비친 것으로 평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