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10. 해외 江관리 실패 사례‥호주 편

체계적인 정책 부재와 정부 차원의 '조정기능' 결여

  •  

cnbnews 정형석기자 |  2009.10.16 16:07:26

호주 경제의 젖줄이자 주요 식량, 수자원의 공급원인 머리-달링 강. 머리-달링 강은 동부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머리 강과 달링강이 합류하고 21개 지류들이 연결되면서 곡창지대인 '머리-달링 분지'를 형성한다.

'머리-달링 분지'는 100만여㎢ 규모(호주 국토면적의 약 14%)로서 관개를 통한 농작물 생산량이 국가 수입의 39%를 차지한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잦은 가뭄과 온난화 현상 및 각 주정부의 무분별한 농업 관개용수 공급 등으로 극심한 물부족 현상을 초래하면서 수자원이 감소하고 수질오염 및 염도증가 등 큰 위협에 직면했다.

이에따라 호주 정부는 2004년부터 수차례에 걸쳐 머리-달링 강 살리기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나 갈수기 유량확보 등 문제점으로 사업성과가 미흡한 상황이다.

현재 2011년 착공을 목표로 장기적 국가 수자원 확보전략인 'Water for the Future'(총예산 100억불)을 추진중이다.

정부의 강 유역관리 대책 및 복원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자원 부족 문제와 습지 고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함으로써 수자원 보유량이 목표치의 1/6 수준에 그치는 등 미래 식량안보 위협까지 초래하고 있다.

또한 현재 머리-달링 강 저수량은 지난 9년간 가뭄으로 총저수량의 11% 미만이며, 2008~2009년 유량도 118년간 3번째로 낮은 수치를 기록함으로써 관개 및 식수난이 더욱 악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머리-달링 강 유역의 호수도 수위가 점점 낮아짐에따라 민물호수의 산성화가 진행되고 있어 생태환경에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머리-달링 강 사업의 실패는 체계적인 정책이 부재했고, 정부 차원의 조정기능이 결여됐다는데 있다.

연방 정부가 농업 및 환경문제를 넘어 식량안보를 위협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임시 방편적인 정책 수단에 의존해왔기 때문이다.

또한 주정부에 물관리를 맡기고 필요시 연방 정부가 구매하는 '물 Buyback프로그램'을 운영, 종합 물 관리 및 지역개발 정책에 차질을 초래했다.

또한 범정부 차원의 협력과 주 정부간 조정작업 결여로 긴금사안 발생시 하위기관과 주정부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처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이 사례는 지자체 등에 강관리를 일방적으로 맡길 경우, 관할권 문제 등으로 효과적이고 체계적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정책 수립 초기단계부터 중앙·지방 정부 간 긴밀한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고, 강 관리 정책에 최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등 전략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는 이번 해외 강 관리 실폐 사례 호주 편을 마지막으로 많은 국민들의 관심과 찬반속에 진행되고 있는 '4대강 살리기'와 관련된 특집을 마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