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금성 라디오 A-501’ ‘삼성 64K DRAM’ 문화재 등록된다

문화재청, 근·현대 산업기술 유물 18건 문화재 등록 예고

  •  

cnbnews 정의식기자 |  2013.06.21 19:13:41

금성이 만든 라디오와 TV, 세탁기, 삼성이 만든 최초의 DRAM 등 잊혀진 산업기술 유물들이 문화재로 등록된다.

문화재청(청장 변영섭)은 근·현대 산업기술 분야에서 산업사적·문화적 가치가 큰 ‘압사기’,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 ‘현대자동차 포니1’ 등 18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가장 많은 제품이 문화재로 선정된 기업은 ‘금성사(현 LG전자)’로 라디오, TV, 냉장고, 세탁기 등 4건이 선정되는 영광을 누렸다.

‘금성 라디오 A-501’은 1959년 제조된 국내 최초의 진공관 라디오로, 전자회로의 설계와 제품 생산의 기술 축적 등 전자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금성 텔레비전 VD-191’은 1966년에 제조된 우리나라 최초의 흑백 텔레비전으로, 화면 크기는 19인치이며 제품에 따라 받침다리를 설치하여 고급 가구의 이미지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외에 1965년 제조된 국내 최초의 가정용 냉장고 ‘금성 냉장고 GR-120’과 1969년에 제조된 우리나라 최초의 세탁기 ‘금성 세탁기 WP-181’도 문화재로 선정되었다.


▲삼성 64K DRAM(사진 제공 : 문화재청)


삼성전자는 1건이 선정되었는데 ‘삼성 64K DRAM’이 그것이다.
64K DRAM은 1983년 개발된 우리나라 최초의 상용화된 반도체로, 손톱만한 크기의 칩 속에 6만4천개의 트랜지스터 등 15만개의 소자를 집적한 VLSI(초고밀도 집적회로)급 반도체다. 이 칩의 개발은 대한민국이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정상에 오르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글과컴퓨터 사의 워드프로세서 ‘한글 1.0 패키지’도 소프트웨어로는 유일하게 선정되었다. 1989년 4월에 출시된 이 제품은 다양한 글꼴과 선 그리기 기능으로 높은 인기를 끌었으며, 한글의 정보화에 기여한 기술적·문화적 가치가 크다.

1961년 연세대학교 한만춘(1921~1984)이 제작한 ‘연세 101 아날로그 전자계산기’와, 1964년 한양대학교 이만영(1924~2013)이 제작한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3호기’도 선정되었다. 이 기기들은 진공관식 전자장치를 사용한 전자계산기로, 디지털 컴퓨터가 도입되기 이전인 1960, 70년대에 교육과 연구에 활용되었다.

이외에 1886년 독일에서 도입된 조폐기기 ‘압사기(壓寫機)’와 이며, 공병우(1906~1995) 박사가 개발한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 국내 최초의 양산형 고유 모델 자동차인 ‘현대자동차 포니1(Pony1)’, 1921년부터 발간된 해양환경 기록물 ‘해양조사연보(海洋調査年報)’, 1960년대에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통일벼’, 1959년 도입된 ‘연구용 원자로(原子爐) TRIGA Mark-Ⅱ’와 1966년 부산에 설치되었던 철강 생산용 ‘전기로(電氣爐)’, 개화운동가 김옥균(1851~1894)이 저술한 도로정비서적 ‘치도규칙(治道規則)’, 1933년부터 1944년까지 발간된 과학기술 종합잡지 ‘과학조선(科學朝鮮)’, 대한제국시대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표준도량형기와 검정(檢定)을 위해 사용했던 검정기인 ‘국가표준 도량형 유물’ 등도 문화재로 등록될 예정이다.

- 정의식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