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aT, 원화강세가 우리 농림축수산품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화 강세에 따른 수출 영향 및 대응방안 제시

  •  

cnbnews 강우권기자 |  2014.07.21 17:55:26

 

(CNB=강우권 기자) 21일 원ㆍ달러 환율이 3월 말부터 급격한 하락세를 보임에 따라 수출에 미칠 부정적 효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김재수)는 ‘원화 강세가 우리나라 농림축수산품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aT는 ▲최근 세계경제 환경 ▲최근 환율 동향 ▲농림축수산물 수출 현황 ▲원화 강세가 우리나라 농림축수산품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특히 달러와 엔 환율 변화의 영향을 구별해 분석하고 원화강세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농수산식품 수출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aT 분석에 따르면 원화 강세는 가공식품보다는 신선제품 수출을 더욱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이는 가공식품의 경우 가격경쟁력 이외에도 제품경쟁력이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침에 따라, 환율변동으로 인한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엔화에 대한 원화의 강세는 수산물의 수출을, 달러화에 대한 원화의 강세는 임산물의 수출을 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본 수출은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이, 미국으로 수출은 임산물이 원화 강세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화 강세는 수출물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달러화로 결제가 이루어지거나 결제자금을 예치해둔 수출업체의 환차손이 확대된다는 측면에서 농림축수산업체의 채산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aT는 원화 강세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환헤지나 수출입 대금 결제일 조정(수입대금 결제일 연기 및 수출대금 결제일 앞당김)을 통해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줄여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국은 품목별 수출 대상국이 편중돼 있어 엔화 등 특정 통화의 약세가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가 클 수 있으므로 시장 다변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대다수 농식품 수출업체는 환차손이 발생하더라도 가격 경쟁력과 안정적 거래를 위해 수출단가를 높이기 어려운 실정으로, 품질・안정성・기능성 등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켜 원화 강세에 따른 수출가격 경쟁력 하락과 환차손 발생 가능성에 대처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세부내용은 aT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홈페이지(www.kati.net) 발간책자 코너(aT GET)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