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수입쌀 관세율 513% 결정…농민단체 강력 ‘반발’

정부 내달부터 WTO 검증절차 돌입, 농민단체 ‘농민의 길’ 출범으로 투쟁 예고

  •  

cnbnews 안창현기자 |  2014.09.18 15:19:54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쌀 관세율과 쌀 산업 발전대책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내년 쌀 시장 전면개방 이후 수입쌀에 적용할 관세율이 513%로 확정됐다.

정부는 18일 수입쌀의 관세율을 513%로 확정하고 세계무역기구(WTO)와의 협상에 본격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달 중 국회에 쌀 관세율을 보고하고 WTO에 통보한 뒤 10월부터 검증절차를 밝게 된다.

정부는 WTO 협정에 근거해 수입쌀에 적용할 관세율을 513%로 결정했다.

이 관세율을 적용하면 80㎏ 미국산(중립종) 쌀은 6만3천303원에서 38만8천49원, 중국산(단립종)은 8만5천177원에서 52만2천134원으로 수입가가 높아지게 된다.

정부는 국내산 산지쌀값이 16만∼17만 원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수입쌀에 비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쌀에 대해 특별긴급관세(SSG)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해 쌀 수입량이 급증하거나 수입가격이 일정 수준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 관세율을 높여 국내시장을 보호할 수 있도록 했다.

▲농민단체 회원들이 18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예산·현안 관련 당정 간담회장에 난입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농림축산식품부 이동필 장관에게 회의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하지만 농민단체는 정부의 이번 발표에 본격적인 반대 투쟁으로 맞설 예정이다.

전국농민회총면맹 등 농민단체는 정부의 발표 이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보가 국민적인 합의가 없는 일방적인 쌀 전면 개방을 강행하고 있다”며 규탄했다.

이어 “정부가 충분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쌀 전면 개방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고율관세를 유지하기 위한 대책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에서 쌀을 제외한다는 약속, 식량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어디에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오늘 70여개 시·군에서 농기계 반납 등 농민대회를 열고, 오는 27일 청계광장에서 쌀 전면개방 중단과 식량주권 사수를 위한 2차 범국민대회를 열 예정이다. (CNB=안창현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