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되는 수도권 쓰레기.(사진=연합뉴스)
인천 수도권 매립지 사용 연장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3개 시·도와 환경부가 수도권매립지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국장급 실무단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환경부(장관 윤성규)와 서울시(시장 박원순)·인천시(시장 유정복)·경기도(도지사 남경필)는 수도권매립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4자 협의체" 첫 회의를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이번 4자 협의체는 지난 3일 유정복 인천시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제안한 것이며, 이번 첫 회의는 윤성규 환경부장관의 초청으로 이루어졌다.
이 날 회의에서는 유시장이 요구한 “선제적 조치”에 대해 기관별 입장을 듣고 협의하는 자리였다.
유 시장은 ▲수도권 매립지 지분권(서울시 71.3%, 환경부 28.7%)을 인천시로 일괄 이양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할권, 환경부에서 인천시로 이관 ▲수도권 매립지 주변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정책 추진 등이 선제적 조치가 관철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표명하였다.
이에 대해 박원순 서울시장과 남경필 경기지사는 선제적 조치에 대해 충분히 공감한다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실무단을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4자 협의체 실무단은 환경부와 3개 시·도의 국장급 간부로 구성돼 인천시가 요구하는 선제 조치의 이행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선제적 조치에 대해 수도권 3개 시·도가 어느 정도 합의점을 도출한 만큼 수도권매립지의 사용 종료기한 연장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현재 매립지가 있는 인천시는 조성 당시 계획대로 2016년까지만 사용하는 것을 고수 하고 있는 반면 서울시와 경기도는 매립지의 쓰레기 수용 능력을 고려, 2044년까지 연장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