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교육청 "교육분야 국정과제 선제적 추진 방침"

"이미 시행중이거나 시행할 계획과 국정과제 대부분 같아"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7.07.20 17:54:40


부산시교육청은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발표한 국정운영 100대 과제 중 교육분야 과제들을 검토·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국정과제들이 이미 부산교육청이 시행 중인 정책이거나 시행할 정책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부산교육청은 국정기획자문위의 발표 직후, 국정운영 100대 과제 중 교육분야 6대 31개 실천과제를 검토·분석했다.


분석결과 문재인 정부의 교육정책이 공교육 강화에 방점을 두고 있어, 학교문화 혁신과 평가방법 개선 등 공교육의 역량 강화와 교육의 본질 회복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온 부산교육청의 정책과 많은 부분에서 그 방향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육분야 6대 31개 과제 중 시·도교육청과 관련한 실천과제는 22개 과제이다. 이들 실천과제 가운데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과제는 13개 과제이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할 과제는 9개 과제로 분류됐다.


▲국정과제와 부산교육청 정책 비교. (표=부산교육청)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13개 과제 모두가 이미 부산교육청이 추진하고 있거나 추진할 계획과 유사하거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혁신학교 확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미래 인재 양성 등 12개 과제의 경우 이미 부산교육청이 추진 중인 정책과 거의 같은 것으로 분석됐다.


교육 민주주의 회복(세계 시민교육 확대) 등 1개 과제는 부산교육청이 2018학년도에 추진할 계획인 정책과 그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부산교육청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학생들의 미래핵심역량을 키우기 위해 추진해 온 초등학교 평가방법 개선 등 각종 혁신정책들이 앞으로 상당한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시교육청이 국정운영 과제를 추진하는데도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교육청은 국정과제를 더욱 면밀히 분석하고 선제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교육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오는 26일 시교육청 간부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김석준 교육감 주재로 '교육정책토론회'를 열어 국정과제 추진방안을 논의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이승우 기획조정관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더욱 면밀히 분석하고 치밀한 대응전략을 수립해 선제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며 “이를 통해 부산교육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NB=최원석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