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달간의 폭염지옥 예상도.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는 최근 엘리뇨․라니냐 등 기후변화로 전국적으로 폭염주의보가 발효됨에 따라 노약자, 거동불편자 등 폭염에 취약한 계층의 폭염 피해예방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폭염으로 인한 시민의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폭염대응 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시는 우선 폭염상황에 대비한 효율적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시·구·군에 T/F팀을 구성하고 운영해 정보공유체계 핫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 장애인, 저소득주민 등 취약계층과 건설근로자, 군인 등이 폭염 속에서 열사병·열탈진 같은 온열질환 피해를 입지 않도록 응급의료기관, 보건소 등과 상시 연락체계를 유지하는 등 폭염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학교나 건설업체 등에는 가장 무더운 오후 2시부터 5시 사이에 '무더위 휴식 시간제(Heat Break)'를 적용해 지킬 것을 적극 요청했으며, 특히 기장군과 강서구 지역에서는 농민들이 한낮에 비닐하우스나 밭에서 작업을 하지 않도록 마을이장과 통장이 앰프방송을 통해 집중 홍보를 펼치고 있다.
또한 어르신이나 장애인, 저소득 주민 등이 한낮 폭염을 피할 수 있도록 주민센터, 새마을금고, 은행, 복지관, 경로당 등 에어컨 등을 갖춘 시설 895곳을 '무더위 쉼터'로 운영 중이다. 무더위 쉼터 운영 활성화를 위해 쉼터 정보제공 서비스를 안전디딤돌 앱 등을 통해 근거리 쉼터 위치정보 등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 지역자율방재단원을 활용해 수시로 점검을 실시, 시민들이 안심하고 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아울러 각 구·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재난도우미' 8천여 명에게도 긴급 문자메시지를 보내 홀몸 어르신이나 거동 불편자 등을 방문토록 독려하고 있다. 각 지역 부녀회원 등으로 구성된 재난도우미들은 이웃의 취약계층을 직접 찾아가 안부를 확인하고, '무더위 쉼터'에서 폭염을 피할 수 있도록 적극 안내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본격적인 여름철이 시작된 가운데, 노약자, 거동불편자 등 취약계층을 비롯한 시민의 폭염으로 인한 피해예방에 행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