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의 자매도시 상하이가 1일 개최될 '2017 부산국제건축문화제'를 위해 '상하이-부산 자매도시특별전'을 함께 개최한다.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는 '2017 부산국제건축문화제(부산건축문화제)'가 1일부터 17일까지 키스와이어센터(KISWIRE Center)에서 개최된다고 31일 밝혔다.
문화제는 리빙 인 더 시티(Living in the City)를 주제로 '상하이-부산 자매도시특별전'부터 부산건축단체 전시와 포럼, 강연회 등 학술행사, 시민체험행사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할 예정이다.
2017 부산건축문화제가 펼쳐지는 키스와이어센터는 부산의 대표적인 향토기업 고려제강의 기념관으로 지난 `14년 '부산다운 건축상'대상을 수상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또 기업의 철학을 건축에 담아 문화로 탈바꿈해 부산의 떠오르는 문화공간으로 대표되는 곳이다.
◇ 상하이-부산 자매도시특별전,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두 도시의 만남
상하이는 중국풍 외에도 다양한 서양 건축 스타일을 볼 수 있는 도시로, 세계 도시건축의 트렌드의 집합지로 볼 수 있다. 역사의 풍파 속에서 영국 뿐 아니라 프랑스, 미국 등 열강들이 조계지를 개설하고 도시를 건설했으며, 이들에 의해 세계적인 근대도시로 발전하게 된 특별한 도시다.
부산도 조선 후기 일본의 왜관 설치와 조약으로 1876년 개항하게 되는데, 이를 시작으로 뼈아픈 역사적 배경을 거쳐오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주거지와 경관이 생겨났다.
그런 점에서 상하이와 부산은 동시대에 만들어져 성장해온 국제도시로 다양하고 역동적인 흐름, 이질적인 스케일의 도시공간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닮아 있는 자매도시다. '리빙 인 상하이, 리빙 인 부산(Living in Shanghai, Living in Busan)'이라는 타이틀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는 두 도시의 형성과 변화과정이 주축으로 전시된다. 이를 위해 상하이 건축인 15인, 부산 건축인 30인이 주거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집과 도시에 대한 해석과 가치를 공유하는 등 시민들에게 전시의 흥미를 더할 예정이다.
전시 외에도 1일 오후 3시 30분부터 '리빙 인 더 시티'를 주제로 개막 특별 강연회가 진행된다. 상하이와 부산 합동 강연회로 왕 난밍(WANG Nanming), 장밍(ZHANG Ming), 장 지아잉(ZHANG Jiajing), 위 팅(YU Ting), 김정관(도반건축사사무소 대표), 공부성(루가건축사사무소 대표)이 강연자로 나선다. 강연회는 주거공간에 대한 상하이와 부산의 사례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할 주거공간의 변화에 대해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자리로 준비될 계획이다.

▲'2017 부산국제건축문화제'의 시민참여 프로그램 중 하나인 '부산도시건축 시민투어'. (사진제공=부산시)
◇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시민참여 프로그램
건축문화제는 건축전문가만을 위한 축제가 아니다. 건축문화제의 취지처럼 전문인과 대중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축제의 장을 만들기 위해,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건축문화를 가까이서 느껴볼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건축문화해설사와 함께하는 전시해설, △어린이-건축교실, 꿈꾸는 산복도로 마을 만들기, △특별전 기념 부산도시건축시민투어, △뚜벅뚜벅 건축투어 등 직접 체험하고 함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준비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시민이 뽑은 부산다운 건축상'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될 예정이며, 부산공공디자인 홍보관이 마련돼 부산의 주요경관 프로젝트 소개와 함께 비디오 및 VR체험존을 통해 부산에 대한 새로운 볼거리와 특별함을 선사할 예정이다.
부산국제건축문화제 서용교 집행위원장(전 남구을 국회의원)은 "부산건축문화제가 전국최초로 건축문화발전을 위해 첫 발걸음을 내딛은 지도 어느덧 17년이 됐다. 청년으로 성장해가고 있는 문화제는 이제 국내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며 "올해 특별하게 준비된 상하이-부산 특별전을 많은 시민분들과 함께할 수 있길 바라고, 이번 행사가 부산이 세계적인 건축도시로 발돋움 하는데 또 한 번의 교두보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산국제건축문화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