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원도심 4개 구 통합' 시민공청회 열어

원도심 통합의 당위성·정책방향 설명, 정책 반영 위한 시민토론 및 의견수렴

  •  

cnbnews 이소정기자 |  2017.09.06 17:57:34

▲원도심 4개 구 통합에 대한 시민의 의견을 듣고 토론하기 위한 '원도심 4개 구 통합 시민공청회'가 6일 오후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사진=CNB 이소정 기자)


원도심 4개 구 통합에 대한 시민의 의견을 듣고 토론하기 위한 '원도심 4개 구 통합 시민공청회'가 6일 오후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공청회는 원도심 통합의 필요성 및 당위성, 시의 정책방향 등을 주민들에게 알리고 이에 대한 논의와 의견수렴으로 향후 관련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박재민 행정부시장, 부산시 이일용 자치행정담당관, 부산대 김인 교수, 충청대 남기헌 교수,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이종협 통합지원과장, 동의대 정창식 교수, 동아대 윤은기 교수, 원도심 4개 구 주민, 각급 단체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주제발표에 앞서 부산시 이일용 자치행정담당관은 정책발표를 통해 "현재 중구·영도구·서구·동구 4개의 구는 급속한 인구 감소와 열악한 재정, 도심 노후화로 향후 자치구 지위가 소멸되거나 미래 경쟁력 상실이 우려되는 상황이다"며 "원도심으로 통합한다면 도시의 기능이 회복됨에 따라 도시경쟁력이 향상되며, 인적물적 자원의 광역적 관리와 경제규모 확대로 대규모 개발사업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지역생산성과 고용이 증대돼 주민 복지 향상 등 도심의 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시너지효과가 나타날 것이다"고 통합된 원도심이 가져올 부산 미래모습에 관해 설명했다.
 
충청대 교수이자 청주시 통합관계자인 남기헌 교수는 "원만한 원도심 통합을 위해서는 철저한 주민 주도의 통합운동으로 이뤄져야 하며 특히 부산시는 현재 자치구통합에 대한 지원근거가 미흡하므로 통합 후 정부차원의 지원가능 대안과 통합관련 인센티브 등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상생협력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의대 정창식 교수는 "앞서 통합과정을 거친 창원시는 통합에 따른 문제점이 잇따라 발생하는 등 속앓이를 했고, 이 밖에도 행정구역 통합을 시행한 여러 도시에서 통합에 따른 문제점이 나타난다"며 "행정구역 통합 여부는 지역균형발전, 경제, 행정 문화, 주민 정서적 부분을 감안해서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고 통합에 대한 반대 주장을 펼쳤다. 

이어서 진행된 시민 토론에서 한 중구시민은 "구청사 소재지를 중심으로 인구, 경제 등이 집중되면 반면 변두리 지역은 쇠퇴하는 불균형 발전이 발생할 것이다"며 "특히 중구라는 명칭 상실로 인한 지역 주민의 주소이전 등의 불편 등이 나타날 우려가 크다"며 원도심 통합에 대한 반대 의견을 말했다.

앞서 부산시는 지난 3월 '원도심 지역 4개 구 통합방안'을 제시했으며, 시민단체에서 제기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또 지난 1일 한국지방정부학회와 부산발전연구원에서는 '원도심통합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통해 분야별 실행전략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