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부산형 장애인 돌봄강화사업' 등 통합적 복지정책 추진

내년에는 돌봄·재활·평생교육 통합서비스 제공 '부산형 장애인 돌봄강화사업' 추진

  •  

cnbnews 이소정기자 |  2017.09.08 17:19:07

▲부산시청 전경.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는 돌봄·재활 서비스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증장애인과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그 동안 학령기 이후 비진학·미취업 중증장애인의 경우, 돌봄·재활 서비스 부족으로 잠재능력 퇴행과 사회진출 차질 등 어려움을 겪어 왔다. 

특히 과잉행동을 보이는 발달장애인, 신변자립(대소변 등)에 어려움을 겪는 뇌병변장애인 등 최중증장애인의 경우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이용등록을 기피해 지역사회로부터 고립되거나 가족의 돌봄부담은 가중되는 등 이중고를 겪는 경우가 많았다.

부산시는 이러한 중증장애인과 가족에게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을 위해 부산시의회(복지환경위원회)와 함께 오는 11일 오후 2시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인력현황으로 바라본 주간보호실태와 개선방안'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며, 부산장애인주간보호시설협회와 장애인자립전환지원센터가 공동주관하고 장애인 부모 등 200여 명이 참석한다. 참석자들은 중증장애인 돌봄강화 정책과 종사자 처우개선 방안에 관해 활발한 토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는 올해 전국 최초로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지원조직을 구성하고, △최중증장애인 평가와 △최중증장애인 이용시설 종사자 추가지원, △도전적 행동 중재 전문가 파견,△ 평생교육 강사 파견, △종사자 전문교육, △우수사례 공모전, △대기자정보 관리 사업 등을 도입해 추진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돌봄․재활․평생교육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부산형 장애인 돌봄강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중증장애인에게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 특수교사, 치료사 등 전문종사자를 추가지원한다. 또 각 시설의 전문종사자와 최중증장애인 이용자의 장애유형 및 연령 등에 따라 특성화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장애아들을 둔 경찰관 아버지의 자살, 베란다에 메달린 딸잡고 버틴 모정, 발달장애인에게 아이 잃은 엄마의 호소 등 우리를 슬프게 하는 사건들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며 "앞으로 중증장애인과 가족들이 다함께 행복한 부산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