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올해 4월과 5월에 실시한 작년 기준 부산시 해양산업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양산업조사는 `10년 시험실시 후 올해가 7회째인 부산시 통계조사다. 시에서 자체개발한 전국 유일무이한 통계조사로, 부산의 전략산업인 해양산업의 실태를 파악해 해양산업을 육성·발전시켜 부산의 위상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강화하기 위해 조사되고 있다.
`16년 기준 해양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 수는 2만 6408개, 종사자 수는 15만 4086명으로 전년대비 1% 초반의 소폭 증가율을 보였다. 남자는 해운·항만물류, 여자는 해양관광 분야에 가장 많이 종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양산업'이 부산시 전체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사업체수 9%, 종사자 11%, 매출액은 약 14% 수준으로 나타났다.
해양관광 관련서비스업을 포함 해양관광업 전반적 산업은 매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해운·항만물류 산업 분야 중 해상통신 및 IT산업(↑112.9%), 수산 산업 분야 중 수산물 유통 및 판매업(↑11.5%), 조선 산업 중 해양레저장비 제조업(↑18.3%) 등이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조사결과 시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현안으로 '가격 경쟁력 향상'과 '관련업체·기관과의 협력 강화'가 꼽혔으며, 해양제조업에서의 시 경쟁력 수준은 '품질과 기술력'이 가장 높다고 응답된 것으로 드러났다.
시는 "부산을 동북아 신 해양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부정책과 발맞춰 스페인 라스팔마스시와 조선해양기자재, 해양플랜트 등 해양산업분야 등에서 적극교류를 위한 협력 의향서 체결, 해양수산 국제협력 콘퍼런스를 부산에서 개최하는 등 해양산업 선진화와 발전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