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중소벤처기업청은 지난 13일 부산지역 '공공구매 정책협의회'를 개최해 중소기업제품의 구매촉진 및 중소기업 판로 지원 등에 대해 협의했다. (사진제공=부산중소벤처기업청)
부산중소벤처기업청은 지난 13일 부산지방청 2층 중회의실에서 부산지역 '공공구매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는 중소기업제품의 구매 촉진 및 중소기업의 판로 지원, 공공기관의 중소기업제품 구매를 증대시키기 위한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이날 부산시청, 기술보증기금, 부산항만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국립부산과학관 등 12개 공공기관과 중소기업중앙회 지역본부,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부산울산지회, 한국여성벤처협회 부산경남지회,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남부권역 관계자 등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협의회가 이번에 신설됨에 따라 협의체 운영 규정을 제정해 협의회를 상설화했으며, 공공기관의 중소기업제품 구매 실적 및 계획, 올해 공공구매 실태조사 현황, 이전 공공기관 구매상담회에 관해 상호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지역 중소기업과 협력방안을 발굴하고, 공공기관의 중기제품 구매 관련 애로사항을 듣고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의견을 모았다.
특히 지역 여성기업, 장애인기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공공기관의 의견이 많아 이를 공유해 판로를 확대하기로 했다.
조종래 청장은 "중소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이 판로개척이다. 공공구매제도가 지역 중소기업의 판로개척에 많은 기여를 했다고 생각된다"며 "그간 공공기관의 협조로 공공구매가 잘 이행됐으나, 이번 정책협의회를 통해 좀 더 협력적인 체계를 구축해 공공구매를 한층 더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공공구매는 공공기관이 다양한 제도를 통해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해 중소기업의 판로를 지원 하는 것으로, 현재 공공기관에서는 구매목표비율제도에 따라 의무적으로 중소기업제품,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 여성기업제품, 장애인기업제품을 구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