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오는 30일부터 내달 9일까지를 특별수송기간으로 지정, 귀성객·성묘객을 위해 특별수송대책을 마련하고 교통대책상황실을 운영한다. (사진제공=부산시)
추석 연휴기간 교통체증에 몸살을 앓을 귀성객과 성묘객들을 위해 부산시가 특별수송대책 마련에 나선다.
시는 오는 30일부터 내달 9일까지를 특별수송기간으로 지정, 귀성객·성묘객을 위해 특별수송대책을 마련하고 교통대책상황실을 운영한다.
시는 귀성객 수송대책으로 대중교통 수송능력 증대, 시내버스 운행시간 연장, 교통혼잡 예상지역 특별관리 등을 진행한다. 이에 따라 연휴기간 중 고속버스, 시외버스(동·서부), 철도의 운행횟수를 당초 1일 2175회에서 2426회로 251회 증편해 약 2만 4000여 명을 수송할 계획이다.
또한 내달 3일부터 5일까지 노포동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을 경유하는 4개 노선(37번, 49번, 심야 1002번, 148번)의 운행시간을 새벽 1시까지 연장하고, 부산역을 경유하는 4개 노선(1000번, 1001번, 1003번, 1004번)의 운행시간을 새벽 2시까지 연장해 귀성객들의 편의를 도울 예정이다.
아울러 중점 교통관리 지역인 교차로 16개소와 역·터미널 주변 8개소 구간을 교통특별관리지역(24개소)으로 지정하고 부산경찰청·관련단체와의 협조를 통해 교통관리인력 배치, 불법 주·정차 단속 및 계도 등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올해 추석 연휴 동안 영락공원 17만 명, 추모공원 21만 6000명 등 대규모의 성묘객이 몰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성묘객을 위한 특별 수송대책도 마련된다. 연휴기간 동안 '영락공원·실로암·천주교·대정·백운1·백운2·추모공원'의 7개 공원묘지 방면에 26개 노선 209대의 시내버스가 배치된다.
마을버스(기장군 11번, 2대)의 기존 '보경사~만화리~기장시장' 노선을 '동부산대학교~고촌역~실로암공원'노선으로 변경해 내달 3일부터 5일까지 임시노선으로 운행한다. 또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성묘객의 편의를 위해 도시철도 열차 5대를 편성 대기해 예비수송력을 확보한다. 공원묘지주변 인근 학교 및 공터 등도 활용해 임시주차장 5479면도 확보했다.
귀성객을 위한 주택가 주차장은 학교운동장 및 관공서주차장 520개소 5만 678면을 개방한다고 밝혔다. ▲학교운동장(광일초등학교 등): 375개소 1만 9578면 ▲관공서(구청, 보건소 등): 92개소 6511면 ▲다중집합(중부소방서 뒤 등): 53개소 2만 4589면
이 밖에도 추석 연휴기간 동안 부산시 교통대책상황실을 설치해 연휴기간 중 교통운행 상황관리에 나선다. 자치구·군에서는 자체적으로 백화점, 대형 할인점, 터미널, 역 주변의 주·정차 질서 계도 및 단속을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도로공사 자료에 따르면 추석 연휴기간 동안 귀성방향 ▲남해선은 동창원IC→창원1터널, 사천IC→사천1터널 ▲남해지선은 동마산IC→서마산IC ▲경부선은 통도사IC→언양JCT ▲중앙지선은 양산JCT→대동JCT ▲울산선은 범서B/S→언양JCT 구간 등에 귀성길 교통정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 관계자는 "경부고속도로 정체시 국도 7호선, 35호선(양산, 통도사, 언양, 경주 방면), 국도 7호선, 14호선, 31호선(울산, 경주 방면)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며 "남해고속도로 정체로 국도이용 시에는 가락 IC―부원교차로-국도 14호선(동서대로)에서 국도 58호선(금관대로), 장유, 창원 방향으로 남해고속도로를 이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고 당부했다.
추석 연휴 교통정보는 국토해양부 홈페이지, 국가교통정보센터, 도로공사, 철도공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부산교통정보서비스센터, 한국도로공사 등에서 제공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