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활동하는 온라인 비즈니스 활용 소상공인과 예비 활용자를 위한 지원 사업이 활성·추진됨에 따라 소상공인들은 부산시로부터 온라인마케팅 비용을 지원받고, 온라인비즈니스에 관심있는 미취업자들은 전문인력 양성 과정을 밟을 수 있게 된다.
시는 최근 온라인을 통한 마케팅과 판매가 창업활동에 있어서 필수 수단으로 활용됨을 인지하고, 부산시내 활동중인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위탁판매수수료와 가맹비, SNS 홍보 비용 등 온라인 마케팅 비용을 지원할 수 있는 방침을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향후 다양한 방식의 온라인 마케팅을 펼치는 소상공업체 중 120개 업체를 선정해 업체당 30만원의 현금을 직접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대상은 부산시 거주하는 간이과세자 중 2017년 온라인 마케팅 활동 비용을 30만 원 이상 지출한 소상공인이다. 신청시 올해 온라인 마케팅 활동을 증빙할 수 있는 세금계산서, 홍보물 게재 사진 등의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또 대상자는 요건을 갖춘 경우 신청순으로 선정하니 빨리 접수할 수록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는 지난 8월 네이버와 방송통신기술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간 '온라인 비즈니스 전문인력 양성 협약체결'에 따른 후속 교육사업도 추진한다. NCS 기반의 디지털마케팅 트렌드과 전략, 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모바일 광고, 중소 광고주 피해 구제까지 온라인 비즈니스에 대한 집중교육을 60명의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해 관련분야의 창업과 창직을 돕는다. 네이버는 교육프로그램과 강사풀, 교재를 제공한다.
온라인마케팅 소요비용 지원과 온라인비즈니스 전문인력 양성 희망자는 부산광역시 소상공인희망센터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지난 5월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부산 골목상권스마일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향후 1년 간 6000억 원을 투입해 소상공인의 창업 후 생존율을 27.8%(2015년)에서 35%(2021년)로 올린다는 목표를 밝혔다.
시 관계자는 "새로운 플랫폼 구축 또는 콘텐츠 제작 지원보다는 이미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마케팅 비용을 직접 지원하는 것이 실효성이 있을 것이며, 신청 시 작성된 마케팅 활동 내용을 분석해 향후 사업 확대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