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부 국무총리 지시사항(유언비어 확산시 사실관계 명확히 대국민 홍보) 추진실적' 문건 사진. (사진제공=김경협 의원실)
홍용표 전 통일부 장관의 '통일대박' 표현 출처에 대한 국회 답변이 통일부 내부문서와 상반됐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당시 해명논리가 국정농단 은폐용으로 조작됐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홍 전 장관은 지난 2월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통일대박론은 통일이 좋은 것이라는 상징적이고 쉬운 표현이다"며 "신창민 교수가 책 제목으로 사용했고, 대통령이 다시 한 번 강조하기 위해 당시 신년기자회견에서 기자와의 질의응답에서 말씀하신 것이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한 달 뒤인 3월 28일자 통일부 내부결재 문서에는 홍 전 잔관의 말과는 달리 '통일대박 표현은 최순실 작품 개연성이 없지 않다'고 적시된 사실이 확인돼 이같은 의혹이 일고 있다.
외교통일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의원(부천원미갑)이 통일부에서 받은 <국무총리 지시사항(유언비어 확산시 사실관계 명확히 대국민 홍보) 추진실적 등록> 문서에는 '통일대박 표현에 최순실의 조카 장시호 등이 언론과 인터뷰에서 최순실 작품임을 주장하고 있으나, 재판의 핵심쟁점이 아니고 당시 통일부장관(류길재)도 금시초문임을 언급한 데에 비춰볼 때 개연성이 없지는 않으나, 통일부가 관여할 사안이 아닌 것으로 판단'이라는 대목이 들어있음이 확있됐다.
또한 박 전 대통령이 통일대박 표현을 사용했을 당시 통일부장관이었던 류길재 전 장관은 나중에 "(통일대박이라는 용어를) 대통령이 언급하기 전까지 전혀 알지 못했었다"고 말한 바 있음
문서에는 또 유언비어중 하나로 규정한 DMZ 평화공원 사업 최순실 개입의혹과 관련한 내용이 들어 있었다. '역대 정부마다 유사한 형태로 추진한 사업이고, 민간의 운영은 원천적으로 불가하다는 점을 적극 해명해왔다'고 했지만, 김 의원실이 입수한 또 다른 문서 'DMZ세계평화공원 종합계획(안)'에는 '공원시설 유지 및 보수는 전문기관에서 대행하는 방안 검토'라고 돼 있어 사실과 다른 해명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장관의 국회답변을 부정한 통일부 내부 문서를 볼 때 '통일대박 출처는 책 제목' 논리는 국정농단 은폐를 위해 누군가 조작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통일대박론, 개성공단 폐쇄 등 납득하기 힘든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 전반에 비선이 개입한 의혹을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