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0일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대(對) 정부 권고안'을 발표해 지난 100일간 멈췄던 원전 공사가 다시 시작됨에 따라, 시민이 납득할만한 정부차원의 강력한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부산시는 이날 오후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추진 정부 권고안(건설 재개) 발표에 따른 부산시 입장 및 대응방향'을 발표했다.
시는 발표를 통해 공론화위원회의 권고안을 존중하지만 정부가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정책결정을 해야 하며, 부·울·경 시민이 납득할만한 신고리 5·6호기 및 기존 가동원전에 대해서도 정부차원의 강력한 안전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부에게 건의하는 대응 방향으로는 시는 원전으로부터 시민안전이 최우선이므로 다음 주에 있을 정부 정책 결정 시 ▲다수호기 가동 및 운영에 따른 안전성 검토 ▲활성단층 정밀 재조사 등 추가 안전대책 ▲사용후핵연료 처리대책을 마련해주기를 촉구했다.
원전가동 및 환경방사능 감시·관리에 대한 지자체 권한과 역할 강화도 요구했다. 이를 위해 ▲원전 관련 지자체 의사결정 및 참여권 보장 ▲안전규제 권한 부여 ▲원전관할 광역시·도별 원전 및 환경방사능 감시·분석센터 운영 지원 등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국가 에너지정책 전환 조기 추진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개발과 에너지 고효율 사업 확대가 필요하므로 이를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시 자체에서도 원자력 안전을 위해 노력하겠음을 밝혔다. ▲원전건설 및 수명연장, 자치단체장에게 사용 후 핵연료 관리에 대한 동의권 부여 등 지역의 의견을 반영 ▲부산형 클린에너지 정책을 내실 있게 추진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30%까지 달성 ▲원자력 안전 및 방사능 방재대책 강화(원전 및 환경방사능에 대한 통합 관리·감시시스템 확대, 방호물품 확보, 방사능 방재교육 및 훈련 등)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