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민공원내 작은소피참진드기 서식실태 조사 결과 '안전'

10차례 조사결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매개체 진드기 0건 채집

  •  

cnbnews 이소정기자 |  2017.11.02 09:37:45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부산시민공원내 잔디광장과 수목을 중심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병 발생예방 및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SFTS 매개체인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서식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부산시민공원내 잔디광장과 수목을 중심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병 발생예방 및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SFTS 매개체인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서식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SFTS는 작은소피참진드기 매개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지난 `11년 중국에서 첫 규명됐고, 우리나라에서는 제4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관리 중인 감염병이다. 이 병은 `14년부터 `16년까지 299명의 환자를 발생시키고, 56명의 사망자를 만들었다.

이번 조사는 `14년에 개장해 시민들의 휴식처로 자리매김한 부산시민공원내 잔디광장 및 수목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기간은 지난 5월부터 9월까지며 월 2차례씩 총 10회에 걸쳐 하야리아 잔디광장 등 주요 12개 지점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12개 지점 모두 한 마리도 채집되지 않았고, `14년부터 현재까지 27회 같은 지점에서 조사했으나 발견되지 않았다. (사진제공=부산시)


조사 결과 12개 지점 모두 한 마리도 채집되지 않았고, `14년부터 현재까지 27회 같은 지점에서 조사했으나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14년 5월에 개장한 공원으로 도심지에 위치해 있고, 공원 내 적절한 잔디 관리로 작은소피참진드기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사전에 차단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연구원 관계자는 "SFTS를 매개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노출되거나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외출 전 벌레기피제 활용 및 공원, 야산 등에서 야외활동 시 긴 옷 등을 착용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집에 들어와서는 반드시 샤워, 옷 세척, 애완용 동물(개) 동행 자제 등 기본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연구원은 앞으로도 감염병 예방과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부산시민공원내 진드기 서식실태 조사를 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조사팀에서 지속해서 실시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