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부산시민공원내 잔디광장과 수목을 중심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병 발생예방 및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SFTS 매개체인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서식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부산시민공원내 잔디광장과 수목을 중심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병 발생예방 및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SFTS 매개체인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서식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SFTS는 작은소피참진드기 매개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지난 `11년 중국에서 첫 규명됐고, 우리나라에서는 제4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관리 중인 감염병이다. 이 병은 `14년부터 `16년까지 299명의 환자를 발생시키고, 56명의 사망자를 만들었다.
이번 조사는 `14년에 개장해 시민들의 휴식처로 자리매김한 부산시민공원내 잔디광장 및 수목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기간은 지난 5월부터 9월까지며 월 2차례씩 총 10회에 걸쳐 하야리아 잔디광장 등 주요 12개 지점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12개 지점 모두 한 마리도 채집되지 않았고, `14년부터 현재까지 27회 같은 지점에서 조사했으나 발견되지 않았다. (사진제공=부산시)
조사 결과 12개 지점 모두 한 마리도 채집되지 않았고, `14년부터 현재까지 27회 같은 지점에서 조사했으나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14년 5월에 개장한 공원으로 도심지에 위치해 있고, 공원 내 적절한 잔디 관리로 작은소피참진드기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사전에 차단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연구원 관계자는 "SFTS를 매개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노출되거나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외출 전 벌레기피제 활용 및 공원, 야산 등에서 야외활동 시 긴 옷 등을 착용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집에 들어와서는 반드시 샤워, 옷 세척, 애완용 동물(개) 동행 자제 등 기본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연구원은 앞으로도 감염병 예방과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부산시민공원내 진드기 서식실태 조사를 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조사팀에서 지속해서 실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