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오전 서병수 부산시장, 부산시의회 백종헌 의장, 조성제 부산상의 회장은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기장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과 관련한 언론보도에 대해 반박 의견을 밝혔다. (사진=CNB뉴스 이소정 기자)
16일 오전 서병수 부산시장, 부산시의회 백종헌 의장, 조성제 부산상의 회장은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기장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과 관련한 언론보도에 대해 반박 의견을 밝혔다.
이날 서병수 부산시장은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국회의원의 주장과 이를 검증 없이 보도한 JTBC의 ▲공업용수 보다 수질이 나쁜 해수담수화 수돗물을 사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설명도 없이 집중 공급 ▲법원에서 '해수담수화 수돗물 주민 공급 사업 중단'을 결정했는데 부산시는 이를 어기고 공급하고 있다는 두 가지 주장에 대해 "근거 없이 악의적인 루머를 퍼트리는 이번 행위에 대해 강력하게 경고한다"며 사과 요구와 함께 사실관계 적극 해명에 나섰다.
서 시장은 "바닷물을 정수해서 수돗물로 공급하는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은 2006년 노무현 정부 당시 선정된 정부혁신과제로, 부산시가 참여한 국책사업이었다"며 "2014년 시장 취임 당시 기장해수담수화 시설은 이미 준공돼 수돗물 공급을 시작해야 하는 시점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시 부산시민들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원전에 대한 불안이 커진 상태였고, 서 시장 또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주민에게 제대로 된 검증과 소통을 통해 진실을 알린 후 시민에게 최종 선택권을 주는 것이 신념이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부산시는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2014년 12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2년에 걸쳐 국내외 권위있는 8개 전문기관에서 410회나 수질검사를 실시했다.
또한 중립적인 조사를 위해 찬·반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원전해역 바닷물 수질거증위원회'를 구성해 완도에서 태종대까지 총 26개 지점에 대해 방사능 물질 검사를 진행한 바 있다.
서 시장은 이후 결과에 대해 "누가 조사하든 '기장 앞바다는 어느 해역의 바닷물보다 깨끗하다'라는 답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수담수화 수돗물이 공업용수보다 수질이 나쁘다는 주장은 명백한 사실 오도다"며 "이런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조사와 근거에도 불구하고 막연한 불안감이 악의적 루머로 인해 확대·재생산 돼 일부 시민에게는 되돌릴 수 없는 불신감만 가지게 만들었다"고 오 의원의 주장을 정면 비판했다.
또한 서 시장은 '부산시가 지난 4월 시각장애인 걷기행사 등 사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해수담수화 수돗물을 집중적으로 공급했다'는 오 의원과 JTBC가 주장에 대해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지난 4월 28일 부산시각장애인복지관 측에서 시각장애인 걷기행사에 무료 생수 공급 요청이 들어와, 시가 필요한 분량만 제공한 통상적 배부였다" 고 해명했다.
시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실제로 부산시가 지난 2년간 생산한 해수담수화 병입수는 총 450만여 병이었고, 이중 서 시장 자택을 포함한 공공기관에 230만 병이 공급됐다. 취약계층에는 전체 2% 수준인 8만 병만이 무료로 공급됐으며, 이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주최측 요청이 있을 시 공급된 것이다.
이에 대해 서 시장은 "오영훈 의원은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해수담수화 병입수 공급 비중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공공기관과 일반 민간단체 공급 수치를 의도적으로 삭제, 우리 시가 그 동안 취약계층만을 대상으로 골라 보급한 것처럼 자료를 제시해 국민의 눈을 속였다"고 비판했다.
이 밖에도 법원에서 ' 기장해수담수화 수돗물 주민 공급 사업 중단'을 결정했음에도 부산시가 법원의 결정을 어기고 공급하고 있다는 오 의원의 주장을 JTBC가 보도한 것을 지적하며 "명백한 허위사실 유포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서 시장은 "당시 법원결정은 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 사무가 주민투표의 대상이 되는 자치 사무인지가 핵심쟁점이었으며, 해수담수 공급이 실정법 위반인지 여부는 검토조차 하지 않았다"며 "소송의 명칭 또한 '주민투표 대표자 증명서 교부신청 거부에 대한 취소 소송'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근거 없이 악의적인 루머를 퍼트리는 이번 행위에 대해 강력하게 경고하며,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며 오영훈 의원과 JTBC는 악의적 주장과 보도임을 시인하고 부산시민 앞에 사과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후 부산시의회 백종헌 의장도 입장문을 발표하며 "최근 특정 언론과 일부 정치권에서 기장해수담수 공급과 관련해 사실을 왜곡해 보도하고, 과장된 사실을 마치 사실인양 발표해 시민들의 의심과 우려가 확산되는 사태에 대해 360만 부산시민을 대표하는 의정기관으로서 심히 분노를 금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백 의장은 "부산시의회는 그동안 국책사업인 '기장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 사업' 추진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왔다"며 "지역과 시민의 갈등을 유발하고 시정과 부산시민을 우롱하는 이러한 사안에 대해 정치적 입장을 떠나 시정의 동반자로서 시정의 정책 방향에 전적으로 지지를 보내며 나아가 책임있는 언론과 정치권의 소명과 사과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조성제 부산상의 회장은 "기장 앞바다의 해산물·수산물 판로가 작년 10월 수질검증위원회의 안전성 검증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기장 해수 담수화 관련 왜곡 보도는 이에 찬물을 끼얹는 상황이다"며 "우리 지역상인들과 주민들, 지역경제에 아주 큰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유감을 표했다.
이어 "해수 담수화 설비 자체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1등인데, 이러한 사태는 우리나라 해수담수화 플랜트산업의 대외 신인도 실추를 야기하며 국외 수출에 상당히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하며 조속한 정정과 반론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