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원전과 방사능으로부터 시민안전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두고 광역차원의 자체적인 방사선 감시역량 강화를 위해, 비상계획구역 관할 기초지자체인 해운대구와 금정구에 방사선 감시 차량을 지원한다고 16일 밝혔다.
먼저 해운대구는 오는 17일 구청에서 방사선 감시 차량을 전달하고, 금정구는 내년에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기장군과 시는 기존에 해당 차량을 확보해 놓은 상황이다.
또한 행정안전부 국고보조금 지원 사업으로 정부, 지자체, 전문기관, 사업자간 방사능 비상상황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으로 최고 수준의 방사능방재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2012년부터 부산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시민안전 확보를 위한 선제적인 대응으로통합 방사능감시시스템 구축·운영을 위해 연차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왔다.
현재 부산시는 시 전역에 설치돼 있는 55개소의 무인자동 환경방사선 감시결과를 부산시 홈페이지 및 스마트폰 앱(안전디딤돌, 모바일부산)을 통해 실시간 공개하고 있다. 또 헬기를 이용한 시 전역 공중방사선 탐지(분기 1회)와 관내주요도로 및 공단지역에 대한 방사선 탐지(수시), 식품, 대기, 해수, 상수 등에 대한 방사능 오염분석(연간 700건 이상) 결과를 월 1회 부산시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에게 공개하고 있다.
순차적으로 해운대구와 금정구에 방사선 감시차량이 지원되면, 자체 운영계획 수립을 통해 관내지역의 방사선 탐지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광역차원의 자체적인 방사선 감시 시스템은 평상시에는 감시기술습득, 훈련을 통한 사전탐지체계구축, 대시민 공개를 통한 생활주변 방사선안전 확인 등에 목적이 있다. 비상시에는 시 전역에 대한 방사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적절하고 신속한 주민 보호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영된다.
아울러 행정안전부 국고보조금 지원사업으로 정부, 지자체, 전문기관, 사업자간 방사능상황정보 공유시스템을 부산시, 부산시교육청, 해운대구, 금정구, 기장군에 신규로 구축해 ▲평상시에는 원전의 운영정보와 전국의 환경방사선 감시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비상시에는 원전이상상황, 방사능기류 분석정보, 환경방사능 정보 등의 실시간 공유를 통해 신속한 주민보호조치 결정 및 이행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시 통합 방사능감시시스템을 강화하고 원전안전에 대한 상시 감시는 물론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최우선의 목표를 두고 최고 수준의 방사능방재체계 확립을 위해 적극적인 활동과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