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K-MOOC 참여대학협의회, 부산서 ‘2019 K-MOOC 콘퍼런스’ 개최

21~22일 ‘함께하는 교육, 미래 K-MOOC’ 주제로 발전방향 모색, 네트워크 강화

  •  

cnbnews 손민지기자 |  2019.11.22 11:46:04

‘2019년 K-MOOC 콘퍼런스’를 주최한 양병곤 부산대 교수학습지원센터장 (사진=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는 국내 우수 대학의 수준 높은 강의를 누구나 무료로 들을 수 있는 K-MOOC의 참여대학 협의회가 21일부터 22일까지 부산 서면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 ‘함께하는 교육, 미래 K-MOOC’를 주제로 ‘2019년 K-MOOC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K-MOOC사업이 2015년 처음 시작된 이래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된 행사로, K-MOOC 발전과정을 공유하고 향후 K-MOOC의 질 제고 방향 모색 및 참여대학 간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개최됐다. 올해 행사에는 회장교인 부산대 등 K-MOOC 참여 대학 57개교를 비롯해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 150여 명이 참가했다.

협의회는 교육계의 현 상황이 K-MOOC가 사업 자체의 가치뿐만 아니라 대학의 혁신을 이뤄내는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시점으로 판단했다. 이날 대표적인 혁신대학인 미네르바 대학의 켄 로스(KENN ROSS) 아시아 총괄이사를 초청해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미네르바 대학 교육(Minerva-University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에 대해 들어보고 K-MOOC에 활용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 게임이 만들어내는 재미, 강력한 몰입감을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인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을 K-MOOC에 접목해 K-MOOC와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접근의 시도로 게이미피케이션 전문가인 김상균 강원대 교수가 두 번째 강연을 맡았다. 참여 대학들은 게이미피케이션이 K-MOOC의 새로운 시도를 이끌어 낼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전했다.

또 교육콘텐츠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공급자(대학) 입장이 아닌 수요자(학습자) 입장에서 바라보는 K-MOOC란 어떤 것이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한 박홍일 부산대 재학생의 발표를 통해 그동안 생각하지 못했던 학습자 입장의 K-MOOC를 바라볼 수 있었다는 호응도 얻었다.

끝으로 부산대 김은정 연구교수(교수학습지원센터)가 K-MOOC 참여대학 협의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연구과제로 ‘K-MOOC를 활용한 대학교육의 질적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김 연구교수는 교육부의 K-MOOC 정책 및 규정의 현실화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플랫폼 및 운영 개선, 대학 콘텐츠 개발을 위한 인적 인프라 안정화 등 현재 K-MOOC 참여대학의 현실을 공유하고 더 발전하기 위한 제안을 이어갔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K-MOOC 참여대학 협의회 양병곤 회장(부산대 교수학습지원센터장)은 “K-MOOC가 현재 외국 MOOC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성장해 가고 있고 그 성장세를 더욱 이끌어 가기 위해서 각 참여대학이 노력하고 있는 만큼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서 한 단계 더 성장할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