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창원상의, 지역 건설업 7개사 대표와 간담회 개최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9.12.22 19:04:04

창원상공회의소는 20일 시내 식당에서 창원 소재 주요 건설업 7개사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사진=창원상의 제공)

 

창원상공회의소가 지난 20일 시내 식당에서 창원 소재 주요 건설업 7개사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서는 ▲지역기업 공동도급제 확대 시행 ▲최저가입찰제도 보완 ▲대규모 공공발주에 대한 하도급 지역업체 비중 실질적 확보 ▲건설 관련 이슈에 대한 상공회의소와 건설단체 간 공동대응책 마련 등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오갔다.

참석한 건설업 대표들은 타 지자체에서는 활용도가 높은 공동도급제도가 우리지역에서는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공동도급제는 대규모 자본을 가진 대형 건설업체로부터 지역기업의 기회를 보호하는 최소한의 수단이라는 의견이다.

최저가입찰제도의 경우 시공의 질이나 기업의 수익구조 보다는 단순 수주에 집중하게 되어 기업 간 출혈경쟁을 양산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현재의 최저입찰제도를 보완하거나, 적정가입찰제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뜻을 밝혔다.

또 현재 지역의 대규모 공공발주는 대형 건설업체가 수주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하도급업체 선정에서부터 자재조달에 이르는 대부분을 타지자체 또는 자체 조달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 지역기업에 기회가 돌아가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지역기업을 하도급업체로 참여시키는 것을 지방조례를 통해 권장하고 있지만, 일선에서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한철수 창원상의 회장은 “국내 건설업 경기가 어느 때보다 어려운 상황이며, 특히 창원은 인구감소에 따른 주택수요 감소와 건설업 규모의 영세로 더욱 힘든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진해신항 건설, 스마트산단 조성, 남부내륙철도 건설 등 국가적 인프라 구축사업이 우리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만큼, 이를 우리지역 건설업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경남도와 창원시 역시도 이와 같은 의지를 밝히고 있는 만큼 기대하는 바가 크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에 앞서 창원시는 이날 오전 창원상의 2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업애로 및 건의사항 추진상황 보고회'에서 예산대비 지역업체 시공비율 목표제 등을 시행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