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는 2021년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전국 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대학원 포함, 2020년 결산 기준) 현황 분석 결과, 부산대가 2005만원으로 2000만원을 넘어섰다고 27일 밝혔다. 전국 국립대학 중에서는 1위이며, 국립·사립을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종합대학 중 11위다.
‘학생 1인당 교육비’는 대학이 학생들의 교육 여건 조성을 위해 연간 투자하는 인건비, 기자재 및 실험실습비, 장학금, 도서구입비 등이 포함된 각 대학의 교육투자 수준으로, 학생들의 성장을 대학이 얼마나 지원하고 있는지 가늠해 대학의 미래 발전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2021년 정보공시자료(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전국 4년제 대학(195개교)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평균 1614.8만원으로 집계됐으며, 국·공립대는 1885.4만원, 사립대는 1527.9만원이었다.
부산대의 ‘학생 1인당 교육비 투자 2005만원’은 법인화된 서울대를 제외한 전국 국립대 중 최초로 2,000만원 선을 넘은 것이며, 특히 서울지역의 주요 명문 사립대학들에 비해서도 높은 상위권에 속하는 수준이다.
국내 과학기술특성화대학(포항공대·KAIST·GIST·DGIST·UNIST)을 제외한 우리나라 전체 국립 및 사립 종합대학 중에서 학생 1인당 교육비 투자가 가장 높은 곳은 서울대로 4861만원을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연세대(3501만원)·성균관대(2840만원)·고려대(2753만원) 등의 순이었으며, 부산대(2005만원)는 전체 종합대학 중 11위로 상위권으로 조사됐다.
주요 사립대의 경우, 부산대의 뒤를 이어 이화여대(1901만원), 서강대(1770만원), 인하대(1672만원), 경희대(1604만원), 중앙대(1562만원), 건국대(1540만원), 동국대(1536만원) 등 순이었다. 국립대학은 부산대 1위에 이어 전남대(1920만원)·충북대(1890만원)·제주대(1882만원)·경북대(1867만원)·전북대(1815만원)·경상국립대(1802만원)·충남대(1779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산대 박홍원 교육부총장은 “부산대의 학생 1인당 교육비 투자가 지난해 2,000만 원을 넘어선 것은 국내 국립대학 중에서는 사상 처음”이라며 “이는 수도권의 주요 명문 사립대학들의 교육비 투자에 비해서도 상당히 높은 수준에 속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부산대의 학생 1인당 교육비 투자가 높은 것은 국립대학육성사업, 대학혁신지원사업 같은 정부재정지원 사업에서 우리 대학이 많은 노력 끝에 큰 성과를 올렸기 때문”이라며 “해외의 주요 명문대학들은 이미 9000만원~1억원이 훨씬 넘는 교육비를 학생들에게 투자하고 있는 것과는 매우 차이가 커 국내 대학들의 재정 확충과 교육비 투자가 가야 할 길이 아직 많이 멀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