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 18일 경주엑스포대공원 살롱헤리티지에서 2021 경주엑스포 대공원 콘텐츠 혁신사업에 대한 성과 보고와 향후 경주엑스포대공원의 비전을 제시하는 선포식을 개최했다.
선포식에는 손경식 CJ그룹 회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서철현 대구대 관광축제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행사는 서철현 대구대 관광축제연구소장의 엑스포 성과와 과제에 대한 용역결과 발표에 이어, 2021년 엑스포 공원 운영 성과 및 미래 비전 발표와 CJ그룹에 대한 감사패 전달 등으로 진행됐다.
2021 경주엑스포 대공원 콘텐츠 혁신(민관 협업콘텐츠 운영)사업은 경북도의 문화관광분야 산학연관 역량 융합 프로젝트 일환으로 추진됐다.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대학, 기업, 지자체의 혁신자원 공유라는 비전으로 지난해 4월 CJ그룹, 대구대학교, 경주시, 경북도 상호 간 ‘문화예술 및 관광산업 진흥을 위한 MOU’를 통해 첫걸음을 내딛었다.
먼저, 재단법인 문화엑스포에 콘텐츠 혁신TF를 신설하고 CJ ENM, 대구대학교 관광축제연구소 및 지자체와 실무협의회를 구성했다.
이를 통해 CJ ENM의 다양한 콘텐츠와 홍보 플랫폼, 대구대학교의 콘텐츠 운영 자문 및 관광객 만족도 연구ㆍ조사, 경북도와 경주시의 운영 및 행정지원을 융합한 ‘경주엑스포 대공원 콘텐츠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그 결과 지역 관광산업이 코로나19로 인해 부진한데도 불구하고 경주엑스포대공원은 전년 대비 2배 증가한 31만6081명의 유료관람객을 유치하며 기대 이상의 성과를 이뤘다.
이러한 성과는 계절별 특색이 담긴 시즌별 프로그램 운영, 주말 상설공연 등 민관 협업 콘텐츠가 경주로 관광객을 유인하는 핵심 콘텐츠로 성장했고 화랑아놀자, 살롱 헤리티지 등 새로운 엑스포 자체 신규 콘텐츠가 지역 문화관광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결과로 분석된다.
재단법인 문화엑스포는 이날 성과발표에 이어 올해 새로운 민관 협업사업으로 신라문화를 재현하는 실감스튜디오 건립과 친환경 태양광 주차장 설치 등 새로운 사업진행 계획을 밝혔다.
또 일반인들의 미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박대성 화백의 솔거아카이브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해나가고, 메타버스 시대에 발맞춰 경주엑스포대공원을 디지털 공원으로 대전환하는 원년으로 삼겠다는 비전도 내놨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주엑스포 대공원 콘텐츠 혁신사업은 기업과 대학, 지자체 간 협업을 통해 언제나 방문해도 늘 새로운, 콘텐츠 중심의 공원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지역관광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코로나 이후 경북도의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해 철저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