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뉴스텔링] 청년정치시대 막 내리나…이준석·박지현의 몰락 스토리

  •  

cnbnews 도기천.심원섭기자 |  2022.07.15 11:09:37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 징계로 당원권 정지 6개월 이라는 중징계를 받아 잠행 중인 이준석 대표가 지난 13일 광주 무등산 방문 사실을 사진으로 공개했다. (사진=연합뉴스)

여야 대표 청년정치인으로 정계 한가운데서 주목받던 국민의힘 이준석 당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이 각각의 사유로 정치 일선에서 한발 물러나면서 청년정치 위기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들의 성장과 몰락, 앞날을 내다봤다. (CNB뉴스=도기천·심원섭 기자)




장면1  화려했던 시절… 바이든까지 칭송

이준석 박지현 두 사람은 한때 청년정치의 상징으로 부각되며 화려한 시절을 보냈다.

이 대표는 지난해 6월 당대표 선거 당시 대구 유세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은 정당했다”는 ‘용기있는’ 발언으로 국민의힘이 ‘탄핵의 강’을 건너는데 일조했다. 이후 ‘이준석 효과’는 이대남(20대 남성)은 물론 중도층에서도 발휘됐다. 당비를 내는 책임당원이 두달 만에 28만명에서 37만명으로 30% 이상 급증했다.

박 전 위원장은 ‘n번방 추적단’ 활동으로 명성을 떨치다 지난 대선 막판에 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혜성처럼 등장했다. 이후 2030 여성 표심을 이 후보 쪽으로 끌어오는 데 기여했다. 5%p가 넘게 뒤져 있던 이재명 후보는 투표 결과 윤석열 당시 후보와의 격차를 0.73%p까지 좁혔는데, 상당 부분 박 전 위원장의 공로로 평가된다. 대선 이후에는 민주당의 ‘구원투수’로 등판해 비대위원장으로 지방선거를 이끌었다.

이들의 명성은 세계적으로도 화제가 됐다.

지난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 당시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렸던 환영 만찬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26세였던 박지현 비상대책위원장의 나이를 알고는 깜짝 놀라며 “나도 서른에 처음 상원의원이 됐다. 앞으로 큰 정치인이 돼라”고 덕담을 건넸으며, 이어 올해 37세인 이준석 대표와는 정겹게 ‘셀카’를 찍기도 했다.

이날 이 대표와 박 전 위원장은 거대 여야의 대표로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들과 한 테이블에 앉았다.

 

민주당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이 지난 11일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비공개 면담을 마친 후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장면2  가시밭길 행보…결국 뒷전으로

하지만 두 사람의 정치행보는 순탄치 않았다.

이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윤석열 당시 후보를 비롯해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측근)’들과 사사건건 충돌하면서 두 번이나 당무를 내려놓고 ‘잠수’를 타는 바람에 신망을 잃었으며, 성 상납 의혹 역시 ‘7억원 투자 각서’의 존재가 드러나면서 스스로 발목이 잡혔다.

결국 지난 7일 ‘성 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과 관련해 당 중앙윤리위원회로 부터 당원권 6개월 정지라는 중징계를 받았다. 현재 국민의힘은 당대표 대행 체제로 전환했으며 이 대표는 잠행 상태다.

박 전 위원장은 지방선거를 코앞에 두고 ‘586 용퇴론’을 불쑥 꺼내 “내부총질이냐”는 비난을 받았으며, 심지어 성비위 논란에 휩싸인 박완주 의원 제명과 최강욱 의원 징계를 강행해 민주당 강성 지지층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결국 박 전 위원장은 6·1 지방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지난달 2일 사퇴했다. 박 전 위원장은 오는 8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 출마을 시도하며 재기를 노렸지만 ‘피선거권이 없다’는 당 지도부의 거부로 좌절됐다. 입당한지 6개월이 안되기에 출마 자격이 없다는 것.

이처럼 두 청년은 여야의 ‘계륵’으로 전락하며 정치적으로 최대 위기를 맞았다.

장면3  한국정치의 현주소…청년은 1회용?

이와 관련 한 정치평론가는 “두 사람이 갈등 당사자와의 ‘대화와 타협’보다는 자신의 SNS를 통한 ‘저격’에만 골몰해 스스로 운신의 폭을 좁혔다”며 “기성 정치권의 ‘여의도 정치문법’에 비교적 서툴렀다는 점이 실패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진중권 전 동양대학교 교수는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선거 때 젊은이들 잔뜩 갖다 썼는데 이후로 일회용으로 쓰다 보통 버리는 것”이라며 “비대위원장도 사실 당 대표다. 2030 역할이 굉장히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당 대표마저도 팽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 초선의원은 “이들(이준석·박지현)만큼 자기만의 색깔과 강단, 지지기반을 고루 갖춘 청년 정치인을 찾아보기 힘들다. 두 사람이 이대로 퇴장할 경우 이만한 청년정치인이 다시 등장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CNB뉴스=도기천·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