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김정옥 대구시의원, 성서산단 활성화 전략 마련 촉구

  •  

cnbnews 신규성기자 |  2025.04.22 20:24:15

김정옥 대구시의원. (사진=대구시의회 제공)

(CNB뉴스=신규성 기자) 대구시의회 김정옥 의원(비례대표)은 22일 제31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조성된 지 20년이 지난 성서산업단지의 각종 안전문제, 기반시설 부족, 정주여건 미비 및 청년 기피 등 복합적인 문제를 지적하면서, 대구시의 노후산단 활성화 전략 마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1984년부터 조성된 성서산업단지는 지역 생산액의 50%, 수출액의 32%를 차지하며 지역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산업시설, 기반시설, 근로인력의 삼로(三老)현상과 함께 성장세 둔화, 산업경쟁력 저하 등 노후산단이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말하면서 “그동안 추진된 재생사업이 외형적인 정비에만 치중했던 것은 아닌지 냉정하게 되짚어 보고, 경쟁력을 회복할 내실 있는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성서산업단지는 1984년 1차 단지 조성을 시작으로 2012년 5차 단지까지 조성된 도심 최대 산업단지로 현재 3,400여 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지역 산단 근로자의 40%가 넘는 약 48,300명이 종사하고 있다. 대구 생산액의 50%(18조 2,633억 원), 수출액의 30%(2조 8,500억 원)를 차지하는 명실상부 지역 ‘제조업의 심장’이다.

그러나 조성된 지 20년이 지나 노후산업단지인 성서산단은, 매년 발생하는 화재사고를 비롯해 각종 안전문제에 심각하게 노출돼 있고, 도로와 주차장 부족으로 만성 주차난에 시달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열악한 근무환경과 문화⋅여가시설의 부재는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청년층이 산업단지 취업을 기피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대구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 10년 동안 성서산단 재생사업에 총 479억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지만, 정작 입주업체와 근로자들의 반응은 “달라진 게 별로 없다”는 반응이다.

이에 김 의원은 △민간 투자 유치 활성화를 위해 이른바 ‘킬러규제’라고 불리는 입주업종 제한, 용도 제한에 대한 재검토 △청년이 찾고 머무르는 ‘대구형 문화산단’ 조성 △창업기업의 생산 역량 확보와 제조기업의 신규 수주처 발굴을 통한 창업-제조기업 협력 생태계 조성 △저(低)디지털화·고(高)탄소배출 구조에 머물러 있는 산단의 친환경 전환 △신규 산단 조성에 따른 노후산단 공동화에 대비한 선제적인 대응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김 의원은 “청년이 일하고 싶은 공간, 기업이 투자하고 싶은 환경, 시민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단지로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성서산단이 대구 경제의 강력한 성장 엔진으로 힘차게 뛸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