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희기자 |
2025.04.29 17:17:07
미국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본격화된 고율 관세 정책의 여파가 지역 산업계를 강타한 가운데, 부산시가 총력 대응에 나섰다. 시는 29일 오후 시청 소회의실1에서 제51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자동차 부품기업 관계자 및 전문가, 유관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 자동차산업 위기극복·미래도약 대응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 직후 박동석 부산시 첨단산업국장은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 4265억 원 규모의 대응 전략을 공식 발표했다. 시는 이번 전략이 고율 관세에 따른 단기적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내연기관 중심의 지역 자동차산업 구조를 전기차·자율주행차 중심의 미래차 산업으로 전환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전략은 ▲단기 회복을 위한 유동성 공급 ▲미래차 산업 생태계 고도화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 3대 전략과 7대 세부과제로 구성돼 있다.
부산시는 우선 1000억 원 규모의 시설투자 자금을 지역 중소 자동차 부품기업에 신속히 공급할 계획이다. 더불어 부품기업의 대체부품 개발, 마케팅 강화 등 사업 다각화를 적극 지원해 수출길 차단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로 했다.
또한, 최근 긴급 편성된 정부의 통상 분야 추경 예산이 지역 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도 병행한다.
미래차 산업으로의 구조 전환은 대응 전략의 핵심이다. 시는 AI 기반 전동화 부품, 초대형 일체화 부품(자이언트 캐스팅), SDV·PBV 핵심부품 등 차세대 기술 개발을 집중 지원하며 시장 선점에 나선다.
기반 인프라 조성에도 속도를 낸다. XR 기반 디지털트윈 시스템, 배터리·모터 안전성 시험센터, 사이버보안 검증센터 등 미래차 생태계를 뒷받침할 테스트베드 구축이 본격화된다. 이와 함께 ‘부산 미래차산업 육성 로드맵’을 수립하고, 정부연구기관 분원 유치 등 범정부 차원의 정책·재정 협력 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고율 관세가 중국산 부품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릴 것으로 보고, 이를 국내 기업의 기회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도 마련했다. AI 기반 디지털 공동물류 플랫폼 구축과 스마트 항만 자율주행 실증사업 등을 통해 수출 물류 효율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또한 지역혁신센터와 완성차 기업을 연계한 인재 양성과 산·학·연·관 협의체를 구성해, 지속 가능한 미래차 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박형준 시장은 이날 회의에서 “이번 대책은 관세전쟁의 위기에서 우리 기업을 보호하는 장치인 동시에, 미래로 도약하는 출발점”이라며 “위기는 밖에서 오지만, 기회는 우리 안에서 스스로 만들어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간기업과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나가자”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