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상의-해수부 첫 협력 간담회…상시 정책협력 채널 마련한다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11.19 16:41:08

19일 세종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해양수산부·부산상공회의소 간 협력 확대 간담회.(사진=부산상의 제공)

부산상공회의소는 19일 세종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호텔에서 해양수산부와 ‘해양수도 부산’ 비전 실현을 위한 협력 확대 간담회를 개최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 발표 이후 지역경제계가 정부 부처를 직접 찾은 첫 자리로, 부산상의가 선제적으로 제안해 성사된 간담회다.

이날 간담회에는 해양수산부에서 전재수 장관을 비롯해 기획조정실장, 해양정책관 등 주요 실·국장 9명이 참석했다. 부산상공회의소에서는 양재생 회장과 회장단 등 10명의 지역 기업인이 자리했다.

본격적인 논의에서는 해양수산부와 지역경제계가 향후 어떤 방향으로 협력관계를 다져나갈지에 대한 의견 교환이 오갔다. 아울러 ▲해양수산부 기능 강화 방향 ▲북극항로 개척 추진 상황 ▲HMM 등 대형 해운선사의 부산 이전 전략 등 부산 해양·물류산업과 직결된 주요 현안이 테이블 위에 올랐다.

특히 참석자들은 해수부 부산 이전이 “부산이 국가 해양경제 정책을 실질적으로 주도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 입을 모았다. 부산상의 측은 해양데이터 플랫폼 도시 구축을 기반으로 해수부가 단순 해양항만 정책을 넘어 포괄적 해양경제 정책을 설계하는 주무 부처로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해운 기업 이전을 위한 정책 지원도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부산상의 회장단은 “기업이 스스로 부산을 선택할 만큼 매력적인 인센티브 패키지가 필요하다”며 △톤세 영구 적용 △본사 이전 시 발생하는 양도차익 과세 유예 △상속·증여세 부담 완화 등을 건의했다. 이는 글로벌 해운기업 유치와 해운·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라는 설명이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인사말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은 부산이 명실상부한 해양수도임을 천명하는 역사적 선언이자, 글로벌 해양 허브로 향하는 위대한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오늘을 기점으로 부산경제계와 해수부가 새로운 협력 단계에 진입한 만큼, 부산이 단순한 정책 수요자가 아니라 국가 정책의 공동 설계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 역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글로벌 3대 항로와 북극항로가 교차하는 해양수도 부산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을 하나의 해양수도권으로 도약시키는 국가 성장 엔진을 장착하는 일”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HMM 본사 유치와 함께 수리조선 단지 조성, 벙커링·선용품·선박정비 산업 집적화 등 고부가가치 산업 기반을 확충해 부산이 단순 환적항을 넘어 해양·조선 서비스 허브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부산상의는 전재수 장관이 부산상의와 정례화를 넘어서 일상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만큼 이를 위한 실무적인 준비에 들어갈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