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인스턴트 식품 많이 먹으면 '곰보빵 얼굴' 된다

서대현 교수, 음식이 여드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발표

  •  

cnbnews 김금영기자 |  2010.10.14 10:39:15

인스턴트 식품, 고지방 음식, 유제품 등 청소년과 젊은 층이 즐겨 먹는 음식이 여드름을 일으키는 주원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지금까지 여드름을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음식과는 무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수년 전부터 해외에서 음식이 여드름을 생기게 하고 증상 또한 악화시킨다는 연구가 발표되기 시작하면서 음식이 여드름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서대헌 교수팀이 실제 한국인의 여드름이 음식과 연관성이 있는지, 있다면 어떠한 음식들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를 조사했다.

조사는 피부과 여드름클리닉을 방문한 783명의 여드름 환자와 502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음식물에 관한 설문 조사와 혈액검사를 시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영양학, 통계학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과학적으로 세분화했다.

또한 혈액검사를 통해 인슐린, 인슐린유사성장인자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단백질과결합인슐린유사성장인자-3(insulin 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 IGFBP-3), 테스토스테론 등도 측정하여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남성은 음식, 여성은 생리 다음으로 음식이 여드름 증상을 악화시키는 데 영향을 많이 끼친다고 응답했다.

정상인은 여드름 환자에 비해 당부하지수(glycemic load, GL)가 10 미만인 녹황색 채소과 콩 등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드름 환자는 GL이 20 이상인 햄버거, 도넛, 떡, 비스킷, 와플, 라면, 콜라 등 탄산음료와 인스턴트 식품을 많이 섭취했다. 또한 최소 17%에서 최대 50% 이상 여드름에 대한 발병 혹은 악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겹살, 삼계탕, 프라이드치킨, 견과류(호두, 땅콩, 아몬드 등), 삶은 돼지고기 등 고지방음식도 여드름 환자에서 유의하게 소모량이 많았으며, 최소 13%에서 최대 119% 까지 여드름에 대한 발병 혹은 악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삼겹살, 프라이드 치킨, 견과류는 음식이 여드름에 영향을 끼친다고 대답한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섭취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차이는 최대 49%에 달했다. 가공 치즈 등 유제품도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등 푸른 생선은 정상인에서 섭취량이 많았고 김, 미역 등 해조류는 여드름 환자에서 유의하게 소모량이 많았다.

이것은 각각 생선에 함유된 지방산의 종류 (특히 오메가-3 지방산) 가 여드름을 호전시킬 수 있고, 해조류에 많은 요오드는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불규칙한 식사 습관도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각 끼니에 대해 1주일에 3번 이상 거르는 것을 불규칙하다고 보고 조사한 결과, 여드름 환자군에서 불규칙하게 식사를 하는 경우가 58%인데 반해 정상인에서는 29%에 불과했다. 특히 여드름 환자는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았다.

혈액검사에서는 음식이 여드름에 영향을 끼친다고 말한 그룹에서 혈중 IGF-1수치가 유의하게 높았고 반대로 IGFBP-3수치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치는 일련의 호르몬 반응들을 발생시켜 결국 여드름의 발생 및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

서대헌 교수는 " 한국인 여드름 환자에게서 여드름의 유발 및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당부하지수가 높은 음식, 고지방음식, 요오드 함유량이 높은 음식, 유제품 등의 섭취를 줄이며 규칙적인 식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드름 치료와 함께 이제는 음식과 여드름의 관련성을 제대로 알리고, 이러한 음식들을 피하도록 식이요법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피부과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유럽피부과학회지 최신호(11월호)에 게재돼 인터넷판으로 먼저 출간됐다.

▲서대헌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교수.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