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30일 안상수 대표가 연평도 방문 당시 현장에서 보온병을 포탄으로 착각한 YTN ‘돌발영상’이 공개된 것과 관련해 “긴박한 현장에서는 누구라도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었고 더구나 기자들의 취재편의를 위해 포즈를 취해 준 것”이라는 장문의 해명자료를 내고 진화에 나섰다.
당시 상황에 대해 안 대표와 연평도를 함께 방문했던 안형환 대변인은 이날 오후 보도자료를 통해 “당시 피해 현장을 둘러보던 중 안내자가 (보온병을) 북한 포탄이라고 설명했고 화염으로 인한 그을림으로 정확한 식별이 가능하지 않아 포병 장교 출신으로 3성 장군을 지낸 황진하 의원 조차도 포탄이라고 생각했을 정도”라며 “긴박한 현장에서는 모든 것에 대해 위험물질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해명했다.
이어 안 대변인은 “만약 함께 있던 누구라도 포탄이 아니라고 생각했으면 현장에서 정정을 했을 것”이라며 “위급한 안보 상황에서 한나라당 대표단과 현지인 모두는 북한에 대한 적개심 속에 그 물체가 당연히 포탄이라고 생각했으며, 더구나 카메라 기자 역시, 포탄이라고 생각해 포즈를 취해 달라고 부탁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안 대표의 이 모습은 YTN ‘돌발영상’ 화면에 30일 방영됐고, 이후 인터넷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됐다. 특히 안 대표가 ‘행방불명’ 등의 이유로 병역을 면제받았다는 점, 전날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지금이라도 전쟁이 발발하면 입대하겠다”고 말해 오히려 대중의 역풍을 맞았다는 점 등이 ‘포탄 발언’에 대한 비판과 냉소의 시각을 증폭시켰다.
앞서, 안 대표는 황 의원, 안 대변인 등과 함께 북한의 연평도 포격 다음날인 24일, 연평도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그을린 물체 두 개를 손에 들고 “이게 포탄입니다. 여기에 바로 떨어졌다는 얘기인데, 민가에다가 무자비하게 포탄...”이라고 말하자 옆에 있던 황 의원(예비역 중장)은 “이게 아마 76mm고, 이건 아마 122mm 방사포일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안 대표가 포탄이라고 했던 검은 물체가 이들이 떠나고 난 직후 일부 기자들과 현지 주민에 의해 화염에 그을린 보온병이라는 사실이 밝혀지자 이를 YTN에서 촬영해 ‘돌발영상’으로 보도된 것이다.
따라서 ‘보온병 포탄’ 해프닝이 일단 해명은 됐다 하더라도 이미 누리꾼들은 안 대표가 군대를 면제받은 사실을 지적하며 “군 미필 여당 대표의 어이없는 실수”라고 조롱하는 등 이미 여당 대표로서 체면(?)을 잔뜩 구긴 것까지 어쩔 수는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