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 조선 3사가 연초부터 극심한 수주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29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지난 1월에 단 1척의 선박도 수주하지 못했던 조선 ‘빅3’는 이달에도 현대중공업만 겨우 3건의 선박 수주를 기록하는 등 부진한 수주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현대삼호중공업이 2월초 터키 디타스가 발주한 유조선 2척을 수주한 것과 현대중공업이 2월 중순 아시아 선주로부터 LPG선 1척을 수주한 것을 합쳐 총 3건의 수주 실적을 올렸다. 수주액은 3건을 합쳐 3억 달러로 전해졌다.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1월에 이어 2월에도 수주가 전혀 없었다.
이같은 수주 부진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움츠러든 발주사들이 선박 주문을 거의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작년 하반기 세계 최대 해운선사인 머스크가 구조조정에 착수하면서 다른 선사들도 동참해 컨테이너선 발주가 급감했고 저유가로 LNG선 발주도 뜸해진 상황도 계속되고 있다. 중소형 선박은 가격 경쟁력에서 우리나라를 앞서는 중국 조선소가 일감을 가로채다시피 하고 있다.
올해와 마찬가지로 불황이라는 말이 나왔던 작년 1∼2월만 해도 조선 빅3의 수주 실적이 지금 같지는 않았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월 유조선 4척을 4억 달러에 수주했고, 2월에는 조선해양플랜트를 9억 달러에 수주했으나, 올해는 이 기간 수주가 2∼3억불 수준에 그쳐 3분의 1로 급감했다.
삼성중공업 역시 지난해 1월 LNG선 2척을 4억 달러에 따낸 데 이어 2월에도 컨테이너선 4척을 6억불에 수주했었고 대우조선도 작년 1∼2월 LNG선 등 8척을 총 14억 달러에 수주하는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