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창원시, 39사단 개발이익 1281억 원 활용 기본원칙 발표

지역적 범위, 사업의 성격, 수혜대상별 사업선정 우선 순위 등 밝혀

  •  

cnbnews 김동욱기자 |  2016.09.01 13:23:45

▲김충관 창원시 제2부시장이 31일 오전 11시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39사단 이전부지 개발이익금 1281억 원의 활용방안에 대해 기본원칙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제공=창원시)

창원시가 지난 31일 39사단 이전부지 개발이익금 1281억 원의 활용방안에 대해 기본원칙을 발표했다.


2004년부터 추진한 '39사단 이전사업'은 창원시와 국방부가 기부대 양여방식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1281억 원의 개발이익이 발생했다. 이는 창원시와 같은 방식으로 추진한 전주시 35사단 이전사업이 1077억 원의 손실이 난 사례에 비추어 볼 때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부대이전 개발이익금을 활용해 지역주민 생활편의를 개선하고 지역발전 도모 사업을 추진하는 창원시의 사례는 향후 타 지자체 군부대 이전사업 추진의 모범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지난 5월부터 '시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시민의견을 수렴하고 연구원과 실무진이 포함된 TF팀을 구성해 '개발이익금 활용 기본원칙'을 확정했다.


개발이익금 활용원칙으로는 크게 ▲지역적 범위 ▲사업의 성격 ▲사업수혜 대상 등 3개 분야로 구분했으며, 분야별 우선순위를 부여했다.


▲ '지역적 범위'는 39사 인근지역을 최우선으로 하고, 의창구 지역, 옛 창원지역의 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했다.


▲ '사업의 성격'으로는 랜드마크가 될 상징성이 높은 사업, 중점 시정방향인 관광․문화와 연계성이 높고 지역발전 기여도가 높은 사업, 계획하고 있는 사업 중 재정여건으로 지연되고 있는 사업 순으로 정했다.


▲ '사업 수혜대상'은 많은 시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파급효과가 큰 사업을 우선 선정하고, 39사 주둔으로 인해 개발이 낙후된 지역의 숙원사업과 지역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확정된 개발이익 활용원칙을 바탕으로 그동안 제시된 ▶ 주남호 생태공원 조성 등의 상징사업 ▶ 창원 역사문화 복원사업 등의 지역개발 사업에 대해 전문가 자문 및 타당성 검토 후 정책토론회를 거쳐 사업대상을 확정할 계획이다.


김충관 창원시 제2부시장은 "39사단 이전부지 개발이익 활용은 시민을 중심에 두고 기본원칙을 세웠다"며 "개발이익금의 활용방안을 내실 있게 마련해 옛 창원지역 주민의 상실감을 치유하는 한편, 창원의 장기적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