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은 이번 교육부 무기계약 전환 권고직종 중 이미 돌봄전담사와 유치원방과후과정강사 554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데 이어 새로 기간제근로자 294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한다고 31일 밝혔다.
시교육청은 지난해 10월부터 1월 30일까지 총 6차례의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를 통해 교육부 미전환 권고직종 3293명과 자체판단직종 2211명을 추가한 기간제근로자 5504명을 심의해 왔다.
이 심의위원회에는 교육청 내부위원 4명과 함께 외부위원 5명(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4명 포함)이 참여했다.
심의위원회는 최종 심의․의결에 앞서 의견 개진을 희망하는 쟁점직종 근로자 대표와 노동조합 간부를 위원회에 출석토록 하여 의견을 청취하는 등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 왔다.
1월 31일 최종 확정된 결과, 관련 법령에 따라 기간제근로자 2211명 중 정규직 전환 예외 사유에 해당하는 1917명을 제외한 19개 직종 294명을 정규직(무기계약) 전환 대상으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지난 `14년부터 정규직으로 전환해 오고 있는 교육부 전환 권고직종인 돌봄전담사(404명), 유치원방과후과정강사(150명) 직종을 포함하면 자체판단직종 2765명 중 전환자가 848명으로 전환율이 30.7%에 달한다.
신규 전환자는 전환관련 행정절차를 거쳐 오는 3월 1일자로 정규직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이번에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주요 직종은 그동안 기간제법 예외사유에 속했으나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1년 미만 근로한 영양사, 조리원 및 55~59세 시설관리실무원, 청소원 등이다.
정규직 전환 제외자는 일시 간헐적 업무 종사자, 60세 이상 고령자, 휴직대체자 등 보충적 근로자들이다.
김석준 교육감은 “이번에 또 상당수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을 확보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에 무기계약으로 전환되지 못하는 비정규직에 대해서도 처우개선 등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교육청은 이들 기간제근로자 외 파견·용역 근로자 1270명에 대해서도 직고용을 위해 '정규직 전환 협의기구'를 구성, 운영하며 정규직 전환대상, 시기, 방식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