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은 1분기 고객들의 해외자산 투자 규모가 1조8000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이중 환매 후 재투자 등을 제외하고 새롭게 유입된 신규 해외투자 자금도 1조에(9500억원) 육박하는 등 신규투자도 크게 증가했다. 신규 해외투자 자금 기준으로 볼 때 올해 1분기에만 작년 전체 증가분의 2배에 이르는 투자자금이 유입된 것.
투자자산의 내용을 살펴보면, 금리형 자산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1분기 신규투자된 해외자산 중 달러채권 등 금리형 자산에 유입된 금액은 5100억원 수준으로, 전체 해외자산 신규 증가분의 54%를 차지했다.
작년 한해 동안의 해외자산 신규 증가분에서 금리형 자산의 비중이 11.5%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4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1분기 신규 투자된 해외자산을 상품 형태별 잔고기준으로 보면, 금리형 자산을 편입한 신탁(39%), 해외지수형 ELS와 환연계 DLS(21%), 해외채권(15%), 해외주식(13%) 순으로 나타났다.
해외자산에 대한 이런 높은 관심 덕에 1분기 말 기준 삼성증권 고객의 누적 해외자산도 10조원을 돌파해 10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고객 해외자산의 1분기 평균 수익률도 국내투자를 대표하는 코스피 지수의 1분기 상승률 4.88%를 크게 앞선 9.43%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증권 사재훈 리테일부문장은 “1분기 해외자산의 증가 추세를 보면 일본의 와타나베 부인이나 대만의 포모사 본드 같은 금리형 해외투자로의 머니무브가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투자 대중화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글로벌 금리형 자산에 대한 시의적절한 투자정보와 다양한 포트폴리오 제공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