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동아대 최보훈 교수, ‘광섬유 이용 손상 입체측정 시스템’ 최초 개발

JCR(Journal citation reports) 분야별 1위 논문집 ‘Composites Part B’ 게재

  •  

cnbnews 손민지기자 |  2019.10.18 16:02:00

광섬유가 내재화된 복합재료 구조체 (사진=동아대 제공)

동아대학교는 신소재물리학과 최보훈 교수가 복합재료의 손상을 빠르고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소형 측정장치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JCR 분야별 1위 논문집 ‘Composites Part B’ 9월호에 제1저자로 논문을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최보훈 교수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권일범 박사가 협력한 것으로 광섬유를 복합재료와 일체화한 뒤 특성 변화를 감지하는 측정방법을 사용했다. 특히 이 장치는 재료의 변형 정도를 실제 구조체상에서 3차원 시각화해 보여주며 시간에 따라 누적된 변형을 추적 가능하게 하는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논문을 통해 실증했다.

최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측정방법은 복합재료뿐만 아니라 금속 재료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도 적용할 수 있어 향후 선박이나 철도, 도량 등에도 적용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라며 “개발된 장치는 산업분야에서 혁신적인 비파괴 검사장치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로켓과 비행기 등 첨단 장치엔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뛰어난 복합재료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재료는 소량의 변형이나 손상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손상을 감지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신속하면서 정밀하게 손상을 측정하는 방법이 없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에 앞서 원천연구를 수행해 분야 1위 논문집인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에 지난 2년간 제1저자로 두 편의 논문을 연속 발표한 바 있다.

이로써 최 교수는 이번 논문을 포함 세 편의 논문이 연속해서 JCR(Journal citation reports) 1위 논문집에 채택돼 새로 개발한 손상 입체측정시스템의 신규성과 우수성을 학계를 통해 먼저 입증받게 됐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